관세 불확실성에 흔들…'경기침체' 경고하는 美 기업들

해외

이데일리,

2025년 4월 25일, 오전 11:24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과 무역 불확실성이 미국 기업들의 우려를 자극하고 있다. 미국 주요 기업들의 1분기 실적 발표가 잇따라 나오고 있는 가운데 주요 소비재·기술·운송 기업들이 잇따라 실적 전망을 철회하거나 경기 둔화를 넘어 ‘경기 침체’ 가능성을 직접 경고하고 있다.

인텔 로고(사진=로이터)
◇관세 충격에 “경기 침체 가능성 커져”

24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의 데이비드 진스너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진행된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미국의 유동적인 통상 정책과 규제 리스크로 인해 경기 둔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경기 침체 확률도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인텔은 일부 고객사들이 관세 부과에 대비해 칩을 미리 사들인 영향이 커 1분기 매출이 126억7000만 달러로 시장 기대치(LSEG가 집계한 예상치 매출 123억 달러)를 웃돌았다. 그러나 2분기 매출 전망치는 112억~124억 달러로 시장 기대에 못 미쳤고, 이에 인텔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5% 이상 하락했다. 진스너 CFO는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 때문에 예측 범위를 평소보다 넓게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와 각국의 보복 조치가 인텔을 포함한 제조업 전반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경고한 것이다. 인텔은 미국 내에서 일부 고급 프로세서를 자체 생산하지만, 대만 TSMC와 한국 삼성전자와의 파운드리 파트너십, 네덜란드 ASML등 유럽 기업에서의 장비 수입, 중국산 부품 의존도 등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관세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진스너 CFO는 “세계 각지에 생산거점을 갖추고 있어 일부 영향을 상쇄할 수는 있지만, 총체적으로 비용 증가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관세와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컴퓨터 구매를 미루거나 기업들의 투자도 위축될 수 있다며, 이는 “반도체 시장 전체 규모의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셸 존스턴 홀트하우스 인텔 제품 부문 CEO도 “고객사들이 재고 확보를 보수적으로 운영하려는 분위기”라며, 경기 둔화 우려가 이미 업계 전반에 확산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인텔은 관세 외에도 미국 정부가 중국에 대한 첨단 AI용 반도체 수출을 제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중국 시장 접근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의 라스베이거스 국제공항에서 사우스웨스트 여객기가 이륙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소비 위축…관세 압박에 더해진 지정학 리스크 위기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은 소비자 심리 위축에도 영향을 끼쳐 미국 대표 소비재 기업들을 흔들고 있다.

사우스웨스트 항공의 밥 조던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미국 경제의 기술적 침체 여부와 상관없이 미 항공 산업은 이미 경기 침체에 들어섰다”고 진단했다.

특히 그는 “당신이 이 상황을 ‘침체’라고 부르든 아니든 이 항공업계에서는 명백히 침체”라며 강한 어조로 현 상황을 규정했다.

조던 CEO는 “팬데믹 외에는 이렇게 갑작스러운 국내 여행 수요 감소를 본 적이 없다”며 특히 레저(여가) 수요 위축이 심각하다고 밝혔다. 사우스웨스트항공은 1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3% 하락한 데 이어 2분기에는 6% 추가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2025년 전체 실적 가이던스(전망)를 철회하며, 여행 수요와 가격 예측이 불가능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텍사스 댈러스에 본사를 둔 사우스웨스트 항공은 다른 대형 미국 항공사들과 달리 국내 여가 목적 여행객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다. 이는 국제선이나 기업 고객 비중이 높은 항공사들보다 소비 심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조던 CEO는 “소비자들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지출을 줄이는 경향이 있다”며 여행 예약이 갑작스럽게 감소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최근 들어 사우스웨스트뿐 아니라 아메리칸항공 등 다수의 항공사가 연간 실적 전망을 철회하고 있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과 고금리, 무역 불확실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고 예약 패턴도 단기화되는 추세다. 조던 CEO는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것은 단순한 수요 조정이 아니라, 광범위한 경기 둔화의 직접적 반영”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對 中) 고율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중국 공장 가동 비중이 큰 미국 소비재 기업은 이 관세전쟁의 직격탄을 맞았다.

미국 대표 신발 브랜드 스케쳐스는 이날 1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올해 연간 가이던스를 철회했다. 데이비드 와인버그 스케쳐스의 최고운영책임자(COO)는 “현재 환경은 예측 가능한 수준에서 경영계획을 세우기조차 어렵다”며, 2~3분기 중 관세 충격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 9일 뱅크오브아메리카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스케쳐스의 중국 생산은 미국 매출의 약 38%를 차지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스케쳐스를 포함한 미국 기업들의 원가 부담이 급증하고 있으며,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미 기업들은 한목소리로 고율 관세와 글로벌 공급망 차질, 트럼프 행정부의 불확실한 무역 기조를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펩시코, 프록터앤갬블(P&G), 킴벌리클라크 등 미 소비재 대기업들도 최근 연간 실적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거나 철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