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10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중국의 관료들과 관세 관련 회담을 위해 호텔을 떠나고 있다. (사진=AFP)
유엔 주재 스위스 대사의 관저에서 열린 이날 회담에는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가 각각 수석대표로 참석했으며,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협상이 진행됐다. 양측은 11일에도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는 협상 과정에서 일부 미국과 중국 관료들은 일찍 자리를 떴지만 베센트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나머지 중국 대표단과 논의를 계속 이어가기 위해 최소 한 시간 이상 더 머물렀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우리는 중국과 미국의 이익을 위해 미국 업계에 중국이 (시장을) 개방하는 것을 보고 싶다”며 “큰 진전이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구체적인 성과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지만, 중국 시장 개방을 거론한 점으로 미뤄 관련 논의가 오간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중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중국 시장 개방을 핵심 요구로 삼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중국은 지금껏 과잉 생산된 상품을 미국에 대량 수출해 무역 흑자를 쌓아왔지만, 자국 내에서는 높은 관세와 비관세 장벽으로 미국산 제품의 진입을 제한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같은 불균형을 지적하며, 중국 내 미국 기업에 대한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특정 산업에 대한 보조금 등 시장 왜곡 조치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금융 시장의 경우 외국인 자본 유출입 제한과 예측 불가능한 규제가 문제로 지적돼 왔다.
중국 측의 공식 입장은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관영 신화통신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글로벌 공급망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러나 동시에 미국이 관세 철회와 같은 ‘잘못된 관행’을 먼저 시정하지 않으면 합의는 어려울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신화통신은 “중국은 협상이 상호 존중과 평등, 상호 이익을 전제로 이뤄져야 한다고 본다”며 “미국이 진정 협상을 원한다면 일방적인 관세 조치의 부정적 영향을 직시하고, 진정성을 보이며 잘못된 관행을 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사실상 미국이 먼저 부과한 관세를 철회할 것을 요구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중국산 상품에 대한 관세를 잇따라 인상해 현재 총 145%의 관세를 부과 중이며, 중국은 이에 대응해 125%의 보복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고율의 관세 치킨게임으로 양측의 무역은 사실상 단절된 상태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과의 무역 협상을 하루 앞두고 대중국 관세를 80%로 조정하는 방안을 언급한 바 있다. 시장에서는 최소 50% 이하로 관세율이 낮아져야 양국가간 무역이 재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