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본 미래’ 완전판.(사진=일본 마이니치신문)
일본 유력 매체 요미우리신문은 29일(현지시간) 지난 21일부터 전날 오후 6시까지 도카라 열도에서는 진도 1 이상으로 관측된 지진만 525차례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일본 기상청이 사용하는 ‘진도’는 지진의 절대적인 에너지를 뜻하는 규모와는 달리, 사람들이 느끼는 흔들림의 정도를 나타낸다. 진도 1은 거의 감지되지 않는 수준이며, 7이 가장 강하다.
도카라 열도에서는 이날 하루에도 40회가 넘는 진동이 확인됐다. 그중 가장 큰 지진은 규모 4.7로, 일부 지역에서는 많은 사람이 놀랄 정도인 진도 4의 흔들림이 있었다고 전해졌다.
도카라 열도는 과거에도 이 같은 지진이 여러 차례 있었다. 2021년 12월과 2023년 9월에도 한 달에 300회가 넘는 지진이 이어진 바 있다.
닛케이는 “도카라 열도 주변은 필리핀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들어가는 류큐 해구와 인접해 있고, 화산섬과 해저 화산 활동도 활발해 지각 운동이 잦다”고 전했다.
지진이 집중적으로 발생하자 SNS상에서는 이른바 ‘도카라의 법칙’이라는 속설이 다시 언급됐다. 이는 도카라 열도 해역에서 지진이 계속되면 일본 다른 지역에서 큰 지진이 뒤따른다는 주장이다. 여기에 일본 만화가 다쓰키 료의 작품 ‘내가 본 미래 완전판’을 근거로 올해 7월 일본에서 대지진이 일어날 것이라는 소문이 더해지며 우려를 키우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요코세 히사요시 구마모토대 교수는 “이번 지진들은 전부 규모가 작다”면서 “이를 근거로 대지진을 예상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나카지마 준이치 도쿄과학대 교수도 “일본은 원래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라 군발 지진 기간에 다른 지역에서도 지진이 생기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며 “과학적으로 도카라 열도 지진이 대지진과 직접 연결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특히 일본 남부 난카이 해곡에서 30년 이내에 80% 확률로 일어날 수 있다고 알려진 규모 8~9의 거대 지진과도 “발생 지점이 달라 연관성이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