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AFP)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무역 상대국별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발효일인 같은 달 9일 발효 13시간 만에 90일 유예를 결정, 이후 미국은 국가별 무역협상을 진행했다. 당시 트럼프 행정부는 유예 시한 이전에 90곳의 국가와 무역 협상을 성사시키겠다고 약속했지만 지금까지 영국 외에는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 중국과는 두 차례 고위급 무역 협상을 거쳐 ‘제네바 합의’를 확정했다.
그는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인 일본에 대해 “만날 필요가 없이 상황은 이렇다고 서한을 보낼 수 있다”며 “우리는 모든 숫자(관세율)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서한을 통해)‘축하한다. 미국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허용하지만 25%, 35%, 50% 또는 10%의 관세를 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라며 “차라리 그렇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 4월 2일 발표했던 상호 관세율처럼 미국이 자체적으로 관세율을 결정해 통보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그는 일본이 미국에 수백만 대의 일본 자동차를 수출하면서 미국산 자동차를 수입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불공평한 일로 우리는 일본을 상대로 무역적자가 크고 그들은 이를 이해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이 미국 자동차 업체보다 낮은 관세를 적용받는 협정을 체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는 질문에 대해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해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 발언에 대해 미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는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16일과 6월 11일에도 일방적인 관세 통지문을 2~3주 내에 보내겠다고 약속했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