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AFP)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무역 상대국별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발효일인 같은 달 9일 그는 90일 유예를 결정, 이후 미국은 국가별 무역협상을 진행했다. 당시 트럼프 행정부는 유예 시한 이전에 90개국과 무역 협상을 성사시키겠다고 공언했지만 지금까지 영국 외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 중국과는 두 차례 고위급 무역 협상을 거쳐 ‘제네바 합의’를 확정했다.
그는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인 일본을 예로 들면서 “만날 필요가 없이 상황은 이렇다고 서한을 보낼 수 있다”며 “우리는 모든 숫자(관세율)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서한을 통해)‘축하한다. 미국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허용하지만 25%, 35%, 50% 또는 10%의 관세를 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라며 “차라리 그렇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 4월 2일 발표했던 상호 관세율처럼 미국이 자체적으로 관세율을 결정해 통보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다만 그는 최근에도 두 차례 일방적인 관세 통지문을 2~3주 내에 보내겠다고 발언했지만 실제 이행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일본에 대한 상호 관세율 25% 미만일 경우 미국 자동차 업체보다 더 낮은 관세를 적용받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해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그는 희토류 등을 명시한 중국과의 ‘제네바 합의’를 거론하면서 “더 공정한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수준의 관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과 잘 지내는 것은 매우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중국은 앞으로 많은 관세를 부담하게 될 것이지만 우리는 (대중국 무역에서)막대한 무역적자를 안고 있고 중국도 그 점을 이해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란이 평화적으로 행동한다면 중국이 수입하는 이란산 석유에 대한 제재를 해제할 의향이 있다고도 말했다.
그는 짧은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과 관련해 “매우 부유한 사람들로 구성된 인수자를 찾았다”며 “중국의 승인이 필요하고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승인할 것 같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묻는 질문에 대해 그는 “2주 후에 말하겠다”고 즉답을 피했다.
지난해 4월 미국 연방의회는 중국이 틱톡을 통해 미국인의 민감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여론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초당파적인 공감대 속에 이른바 ‘틱톡 금지법’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틱톡은 미국 사업을 올해 1월 19일까지 매각해야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달 20일 취임 직후 행정명령으로 매각 시한을 75일간 연장했다. 이후 지난 4월, 이달 이렇게 총 3차례 매각 시한을 연장해 현재 틱톡의 매각 시한을 9월 17일이다.
그는 미국의 이란 핵 시설 공습과 관련해 “완전히 파괴됐다”며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몇 개월 정도 지연시켰다’는 내용의 초기 평가 자료 유출자는 기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 누구도 본 적 없는 방식으로 완전히 파괴됐다”며 “그것은 적어도 한동안 이란의 핵 야망이 끝났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최근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CBS와의 인터뷰에서 이란 핵 시설에 대해 “심각한 피해는 분명하지만 완전한 피해는 아니”라며 핵시설 손상에도 이란이 수개월 내로 농축 우라늄 생산을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불법 이민 단속 강화를 강조하면서도 농장과 호텔 노동자에 대해서는 보다 미묘한 입장을 내비쳤다. 그는 “나는 역사상 가장 강경한 불법 이민 단속론자이지만 동시에 가장 강력한 농민 지지자”라면서 “농부들이 일손을 잃고 사업이 무너지는 건 큰 문제”라고 말했다.
이에 그는 일종의 임시 허가증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농장주나 호텔 업주가 자신들의 사업장에서 이뤄지는 이민 단속에 대해 일정한 통제권을 갖도록 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