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4일부터 10~70% 관세율 서한 통보…8월1일 적용”(상보)

해외

이데일리,

2025년 7월 04일, 오후 03:08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부터 각국에 상호 관세율을 서한으로 일방 통보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관세율을 오는 8월1일부터 부과하겠다는 방침이다.

3일(현지시간) 아이오와로 떠나기 전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만난 기자들을 만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AFP)
이날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아이오와주를 방문하고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기자들에게 “오후부터 10~12개 무역 상대국에 서한이 발송될 것”이라면서 “앞으로 며칠 동안 서한이 추가로 발송된다”고 말했다. 그는 “7월 9일쯤이면 (서한 발송이) 완전히 처리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상호 관세율은 아마도 60~70%부터 10~20%까지 다양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최대 상호 관세율 70%는 지난 4월 2일 발표 당시 보다 높은 것이다. 당시 최대 상호 관세율은 50% 수준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 발송 대상국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았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각국에 8월1일부터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면서 ”8월1일부터 그 돈(관세)이 미국으로 들어올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4월 2일 발표해 같은 9일 유예가 결정된 국가별 상호관세의 유예 시한은 이달 8일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그전에 90개국과 무역 협상을 성사시키겠다”고 공언했지만 지금까지 의미있는 합의가 이뤄진 국가는 영국과 베트남에 그친다. 중국과는 2차례 고위급 회담으로 ’제네바 합의‘를 이뤘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에 서한으로 상호 관세율을 통보하겠다는 ’위협‘을 반복하고 있다. 협상 테이블에서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거나 미국의 상호 관세율을 그대로 받아들이라는 사실상 ‘협박’으로, 막판 압박술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아이오와로 떠나기 전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만난 기자들에게 “우리는 아마도 내일부터 시작해서 하루에 10개국씩 서한을 보내 미국과 사업을 하기 위해 얼마를 지불(관세)할 것인지를 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거래국이)170개국이 넘는데 얼마나 많은 거래를 할 수 있겠느냐“며 ”복잡하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2일 발표된 베트남과 무역 합의 외에도 “몇 가지 다른 협상이 진행 중에 있다”면서도 “알다시피 편지로 그들에게 어떤 관세가 부과될지 말하는 쪽을 선호한다. 그것이 훨씬 쉽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의 합의에 대해 낙관적인 견해를 드러내고 잇으나 일본은 협상하기 어려운 상대로 꼽았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 유럽연합(EU)과도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