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해 6월 평양에 도착 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는 모습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키릴로 부다노우 우크라이나군 정보총국장은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은 (무기) 비축량이 거대하고 24시간 내내 생산이 이뤄지고 있다”며, 러시아군이 사용하는 탄약 중 약 40%가 북한산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북한은 탄약뿐 아니라 탄도미사일과 포격 시스템 등도 러시아에 제공하고 있으며 좋은 무기들”이라고 평가했다.
부다노우 국장은 최근 3개월 동안 우크라이나군 정보부대가 입은 손실 중 약 60%가 북한산 무기를 이용한 포격에 의한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해 6월 평양에 도착 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는 모습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블룸버그통신은 부다노우 국장의 이 같은 발언이 사실인지 독자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고 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제 무기가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실전 배치되고 있다는 정황은 지속적으로 포착되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이날도 자국 텔레그램 채널을 통해 북한산 무기를 드론으로 파괴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에는 우크라이나 동부 쿠피얀스크 지역 수풀 속에 은폐해 있던 북한제 ‘75식 다연장로켓’이 드론 공격에 의해 파괴되는 모습이 담겼다.
우크라이나군은 해당 공격이 ‘부레비(태풍) 제1대통령여단’에 의해 수행됐다고 밝히며 “북한이 최전방의 현실을 견디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27일에도 우크라이나군은 북한산 M1991 방사포를 드론으로 파괴하는 장면을 영상으로 공개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이번 전쟁을 통해 자국 재래식 무기의 성능을 시험하고, 실전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부다노우 국장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관련해 “(휴전에 대한) 그의 입장은 변함없다. 언론에 나온 모습만으로 비판해서는 안 된다”고 언급하며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