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2020년 대선에서 민주당 조 바이든 대통령이 승리했다는 결과를 끝내 인정하지 않은 채 우편투표의 보안성에 지속적으로 의문을 제기해왔다. 그러나 유권자 사기가 광범위하게 발생했다는 증거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측은 즉각 반발했다. 민주당 주지사협회 대변인 요한나 워쇼는 “트럼프의 위협은 유권자들의 목소리를 억압하려는 노골적인 시도”라며 “민주당 주지사들은 법치와 투표권을 끝까지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50개 주가 독자적으로 선거를 관리·운영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주(州)는 단지 연방정부의 대리인에 불과하다”며 “연방정부, 즉 대통령이 요구하는 대로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국주회의(NCSL)에 따르면 현재 모든 주가 부재자·우편투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8개 주는 별도 사유 없이 우편투표를 허용하며, 8개 주와 워싱턴DC는 전면 우편투표제를 실시한다.
우편투표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였던 2020년 대선에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2024년 대선에서는 감소했다. 선거지원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총선거에서는 3분의 2 이상이 현장 투표였고, 약 30%가 우편투표였다.
오는 2026년 11월 3일 치러지는 중간선거는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1월 재집권한 이후 그의 정책 전반에 대한 첫 전국적 평가 무대가 될 예정이다. 민주당은 하원과 상원 권력을 되찾아 트럼프 대통령의 국내 정책을 견제하려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텍사스와 인디애나 등 공화당 주들에 선거구 재조정을 촉구하며 공화당 후보 당선 가능성을 높이려는 전략을 노골적으로 추진해왔다. 그는 또 최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담 후 “푸틴도 우편투표 폐지에 동의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추진은 미국 선거제도의 근간을 흔드는 중대한 조치로, 선거 공정성 논란과 함께 치열한 법정 다툼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