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좌)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열린 회의 중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AFP)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젤렌스키 대통령과 회담자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안보와 관련해 많은 지원이 있을 것”이라며 “유럽 국가들이 최전선에 있지만 리도 돕고 관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휴전이 평화 합의를 위한 전제조건일 필요는 없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주장해온 내용으로, 젤렌스키 대통령과 대부분의 유럽 정상들은 반대하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평화 합의의 일환으로 미국이 안보 보장에 참여하기로 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미국이 강력한 신호를 보냈다”며 “안보 보장에 나서려는 미국의 준비가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푸틴-젤렌스키-트럼프 간 3자 정상회담에 동의 의사를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회담 후 푸틴 대통령과 통화할 예정이라며 “오늘 논의가 잘 된다면 3자 회담을 열 수 있고, 그렇게 된다면 전쟁 종식의 합리적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쟁은 결국 끝날 것이고 젤렌스키 대통령도, 푸틴 대통령도 이를 원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안보 보장을 받아들일 용의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EU도 강력한 안보보장 촉구…휴전 없는 평화협상엔 반대
트럼프와 젤렌스키는 1대1 회담 후 유럽 정상들과 합류해 다자 회담을 가졌다.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핀란드, 유럽연합(EU),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들도 참석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연대를 확인하고 전후 체제에서 강력한 안보 보장을 촉구했다.
특히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과 독일의 프리드리히 메르츠 총리는 휴전 없는 평화 협상 가능성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메르츠 총리는 “휴전 없는 다음 회담은 상상할 수 없다”며 “러시아에 압박을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국의 스타머 총리는 “안보 보장과 3자 회담이 성사된다면 오늘은 매우 중요한 날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18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를 맞이하고 있다. (사진=AFP)
이날 회담에선 젤렌스키 대통령이 평소의 군복 차림 대신 정장을 입고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지난 2월 백악관 회담에서 올리브색 군복 차림으로 나타났다가 트럼프 대통령의 불쾌감을 산 그는, 이번엔 검은 셔츠와 재킷을 매치한 ‘블랙 톤’ 차림으로 회담장에 들어섰다. 군사적 기조를 유지한 정장 차림이다. 넥타이는 없었지만 분위기는 한결 달라졌다.
당시 회담은 두 정상의 언쟁 끝에 젤렌스키 대통령이 예정된 오찬도 없이 귀국하는 ‘외교 참사’로 끝났던 터라, 이날 젤렌스키의 복장 변화는 주목을 받았다.
보수 성향 방송인 ‘리얼아메리카보이스’의 브라이언 글렌은 “오늘은 훨씬 멋지다”고 했다. 그는 지난 2월 회담장에서 “왜 정장을 입지 않았느냐”고 젤렌스키에게 물어 논란이 된 인물이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이 “나도 그렇게 말했다”며 맞장구쳤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당신은 같은 옷을 입었지만 나는 바꿨다”고 농담을 던져 좌중의 웃음을 자아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2022년 러시아의 전면 침공 이후 줄곧 군복 차림으로 병사들과의 연대를 강조해왔지만, 지난 2월 트럼프와의 충돌 이후 조금씩 ‘격식 있는’ 차림새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지난 4월 로마에서 열린 교황 프란치스코 장례식 때도 검은 야전 재킷에 단정한 셔츠 차림으로 트럼프 대통령과 마주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