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멕시코주의 한 병원에서 촬영된 경구용 임신중절약 미페프리스톤.(사진=로이터)
코스트코 대변인은 “대부분의 환자가 의료 기관을 통해 해당 약을 처방받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라며 “현재로서는 판매 계획이 없다”라고 밝혔다.
미페프리스톤은 임신 초기 의료적 유산에 쓰이는 약물로 미소프로스톨과 함께 복용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지난 2000년 미페프리스톤을 승인했고, 2016년과 2021년 원격 진료와 우편 배송을 허용했으나 현재 각 주별 법률에 따라 접근이 제한돼 있다.
코스트코의 판매 방침엔 변화가 없지만, 반(反)낙태 단체들은 환영하는 분위기다. 보수 성향 종교 연합체인 얼라이언스 디펜딩 프리덤(ADF)은 이번 결정을 자신들의 승리로 해석하고, 다른 대형 소매업체에 대한 압력을 강화하겠다고 선언했다.
ADF의 법률 고문 마이클 로스는 성명을 통해 “코스트코가 주주들의 이익을 위해 올바른 결정을 내리고 낙태 약물 판매를 요구하는 활동가들의 압력을 거부한 것을 환영한다”라고 밝혔다.
또 다른 반낙태 단체 ‘수잔 B. 앤서니 프로라이프 아메리카’의 에밀리 에린 데이비스는 코스트코가 “낙태 산업의 위험한 의제에 가담하지 않겠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보냈다”고 평가했다.
반면 민주당 소속 패티 머레이(워싱턴주) 상원의원은 “코스트코가 극우 반낙태 세력의 정치적 압력에 굴복했다”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머레이 의원은 성명에서 “코스트코가 낙태 반대 극단주의자들의 정치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합법적인 약물을 판매하지 않기로 했다는 보도에 대해 깊은 우려를 느낀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극우 극단주의자들이 주요 기업을 협박하고 여성들이 어떤 약물에 접근할 수 있는지 결정하도록 방치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코스트코는 즉시 결정을 번복하고 과학적 증거와 사실을 따르며 극우 반낙태 극단주의자들의 요구에 굴복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라고 했다.
코스트코의 낙태약 판매 여부에 대한 논쟁은 최근 미국 사회에서 격렬해지고 있는 낙태약 접근성 논쟁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대형 유통업체가 판매 여부를 둘러싸고 정치·사회적 압박을 동시에 받는 가운데 코스트코의 결정이 다른 기업과 소비자 시장에 어떤 파급력을 미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