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저커버그 CEO가 지난주 말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비공개로 회동해 디지털 서비스세 문제를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마크 저커버그(사진=AFP)
메타는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왓츠앱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광고를 통해 수익의 대부분을 창출하고 있어서 해당 국가에서 상당한 디지털 서비스세를 납부하고 있다. 예컨대 오스트리아에서는 매출의 5%를 디지털 서비스세로 내고 있다.
메타도 저커버그 CEO가 트럼프 대통령과 회동한 사실을 확인했다. 회동 목적에 대해선 “메타의 미국 내 인프라 투자와 해외에서의 미국 기술 리더십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저커버그 CEO와의 회동 며칠 뒤인 지난 25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디지털 세금 그리고 디지털 서비스 법률, 디지털 시장 규제는 모두 미국 기술에 해를 끼치거나 차별하기 위해 고안됐다”며 “이러한 차별적 조치가 철폐되지 않을 경우, 미국 대통령으로서 해당 국가의 대미 수출에 상당한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고도로 보호되는 우리의 기술과 칩에 대한 수출 제한을 시행할 것임을 알린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미국 빅테크를 겨냥해 각종 규제를 시행하고 있거나 준비하고 있는 국가 전반에 대한 경고로 해석된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일관되게 디지털서비스세와 미국 기술기업에 대한 불공정한 조치에 반대해 왔다”며 “행정부 역시 통상 협상 과정에서 EU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 지속적으로 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부 유럽국가에선 이미 디지털 서비스세를 시행하고 있는 만큼, 유럽연합(EU)은 즉각 반발했다. 스테판 세누르네 EU 번영·산업전략 수석 부집행위원장은 프랑스 최대 고용주 협회인 MEDEF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미국이 테크 분야 규제를 빌미로 관세를 부과한다면 미국과의 무역 합의를 재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