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시안 반도체 공장. (사진=삼성전자)
29일(현지시간) 미 상무부는 이날 삼성전자의 중국 시안 공장, SK하이닉스의 중국 우시 공장, 인텔의 중국 다롄 공장을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프로그램에서 제외한다고 관보를 통해 발표했다. 그러면서 이들 기업이 중국에서 반도체 장비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던 기존 예외 조치를 폐지하고, 앞으로는 별도의 라이선스를 받아야만 장비를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인텔 등은 중국에서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미국 장비를 들여오려면 건별로 허가를 얻어야 한다.
이들 회사는 그간 VEU 프로그램에 참여한 덕분에 미국 정부가 2022년 10월부터 대(對)중국 수출을 통제해온 반도체장비를 중국으로 수입할 때 일일이 허가를 신청하지 않아도 됐다. 미 상무부가 이런 포괄적인 허가를 취소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이번 조치로 미국 장비업체인 KLA, 램리서치,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도 중국 내 매출이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반면 중국 내 장비업체들은 미국산 장비 공백을 메울 기회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또 메모리 반도체 부문에서 삼성과 SK하이닉스의 경쟁사인 마이크론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허가 변경 조치는 공지 후 120일 뒤부터 시행된다. 인텔은 과거 중국 다롄에 있는 낸드메모리 생산 시설을 SK하이닉스에 매각했으나, 웨이퍼 생산은 올해까지 이어졌다.
한편 외교가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 외에 유일하게 중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대만 TSMC의 중국 공장에 대해서도 포괄적 허가를 취소하는지 주시하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