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년전 처음 등장한 ' :-) ' ..현대인의 필수품 [그해 오늘]

해외

이데일리,

2025년 9월 19일, 오전 12:03

[이데일리 장영락 기자] 1982년 9월 19일 오전 11시 44분 컴퓨터과학으로 유명한 사립대인 미국 카네기 맬런 대학교의 스콧 팰먼 교수가 대학 전자 게시판에 이모티콘 ‘:-)’를 사용한 글을 게시했다. 사람이 웃는 모습을 나타낸 이 ‘스마일리’ 이모티콘은 온라인에서 사용된 최초의 이모티콘으로 알려져 있다. 40년이 넘게 지난 지금 이모티콘은 온라인 생활의 필수품이 됐다.
1881년 잡지 'Puck'에 실린 이모티콘 아이디어.
글쓰는 사람의 감정을 직관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형상을 언어 기호로 표현하는 아이디어는 이미 19세기 타자기가 보급된 이후부터 존재했다고 알려져 있다. 1881년 미국에서 발간되던 인기 유머 잡지 ‘Puck’ 3월 첫째주 발간호에는 괄호와 구두점을 이용한 이모티콘 아트가 소개됐고, 비슷한 사례는 미국 이외의 나라에서도 발견된다. 팰먼 교수가 한 일은 이 구상을 온라인 상에서 처음으로 구체화한 글을 남긴 것이다.

팰먼 교수는 컴퓨터 키보드로 칠 수 있는 문자 기호들, 콜론(쌍점), 괄호, 가로줄 기호인 대시(dash)를 조합해 웃는 얼굴을 만들었고, “이 기호를 농담을 할 때 쓰는 표시로 만들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괄호를 뒤집은 ‘:-(’는 농담이 아닌 경우 쓰자고 제안했다.
윈도 11에서 기본 지원하는 이모티콘.
최초의 온라인 이모티콘은 키보드 기본 문자로도 칠 수 있을 정도로 단순했고 옆으로 기울여 읽어야 하는 불편도 있었지만, 이후 이모티콘 기호 조합은 복잡하게 발전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인터넷 부흥 시기 한국에서는 온갖 특이한 특수문자를 이용한 이모티콘 조합이 유행하기도 했다.

특히 이 시기에는 특수문자의 조형을 이용해 한글 문자 표현을 흉내내는, 이른바 ‘외계어’가 나타나 새로운 세대 언어능력에 심각한 해가 되는 것 아니냐는 지금 보면 어처구니없는 사회적 논쟁까지 벌어졌다.

이후에는 컴퓨터 입력 방식에도 혁신이 와 메신저에서 문자로 처리하는 이모티콘을 넘어 이미지 자체로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도 등장했다. 당시에는 이러한 클립아트를 이용한 감정 표현도 이모티콘으로 불러야 하는지 갑론을박이 있었으나 지금은 온라인 상에서 문자를 이용한 정서법적 표현 이외에 감정을 드러내는 모든 기호를 이모티콘으로 부르고 있다.

여기에 모바일 환경에서도 온라인 통신 용량의 수용능력이 극도로 높아진 요즘은 짧은 동화상을 담은 gif(흔히 ‘움짤’로 불리는) 이미지도 이모티콘의 하나로 흔히 쓰인다. 메신저, 소셜미디어의 대화창은 이제 짧은 대화가 오가는 와중에도 이모티콘으로 도배가 된다.

이모티콘은 현대에 와서 크게 늘어난, 경우에 따라 대면 의사소통보다 훨씬 잦아진 온라인 의사소통에서 절대적인 변수가 됐다. 특정한 이모티콘은 특정한 세대의 지표로 여겨지고, 이모티콘을 아예 쓰지 않은 메시지에서는 상대의 ‘딱딱함’을 읽어낼 정도다.

겨우 20여년전 서로 마주보지 않고 소통하는 사회의 삭막함을 말하던 때도 있었지만, 이제 스마트폰으로 입력하는 단 한줄의 짧은 메시지마저도 ‘감정의 과잉’으로 몸살을 앓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저 농담임을 표시하기 위해 웃는 얼굴을 문자로 그린 컴퓨터 과학자는 이모티콘이 만들어낸 이러한 의사소통의 변화상을 예측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하물며 그림 이모티콘을 상품으로 팔고, 그림 작가들이 이 이모티콘 판매로 돈벌이를 할 수 있는 세상은 더더욱 예측이 어려웠을 것이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