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긴축 종료 시사한 파월…“몇달 내 올 수 있다”(종합)

해외

이데일리,

2025년 10월 15일, 오전 07:24

[워싱턴=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축소(양적 긴축) 프로그램이 조만간 종료될 수 있다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또 노동시장 둔화가 뚜렷해지고 있다며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인정했지만, 향후 기준금리 인하 여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피하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 (사진=AFP)
◇양적 긴축 막바지...“충분한 수준 도달하면 멈출 것”

파월 의장은 14일(현지시간)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전미실물경제학회(NABE) 연례회의 연설에서 연준이 시행 중인 ‘양적 긴축(Quantitative Tightening)’ 정책이 막바지에 이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은행 시스템 내 준비금이 충분한 수준(ample reserves)에 도달하면 자산축소를 멈출 계획”이라며 “그 시점이 향후 몇 달 안에 올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구체적인 종료 시점은 제시하지 않았다.

양적 긴축은 연준이 보유한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 등의 자산을 점진적으로 줄여 시중에 유동성을 줄이는 조치다. 양적 긴축은 중앙은행의 자산을 줄이는 동시에 은행이 연준에 보유한 준비금(예금) 도 함께 감소시키는 구조다. 즉, 국채가 만기되면 재무부가 원금을 상환하고, 그 자금이 연준 내 시중은행 계좌에서 빠져나가 시중 유동성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난다.

연준은 2022년 중반부터 국채와 MBS 등 보유자산을 자연 만기분 만큼 재투자하지 않는 방식으로 줄여왔다. 올해 초 연준은 매달 만기 도래 자산의 상환 규모를 줄이는 방식으로 축소 속도를 완화했다. 이 과정에서 중앙은행의 보유 자산 규모는 2022년 약 9조달러에서 현재 6조6000억 달러 수준으로 축소됐다. 그러나 은행의 준비금이 줄어들면서 미국 단기자금시장(머니마켓) 에서는 점차 자금조달 압박이 지속되고 있다.

파월 의장은 “준비금이 과도하게 줄어드는 것은 금융시장의 자금 유동성을 위축시킬 수 있다”며 “2019년 단기자금시장(레포시장)에서 발생한 급격한 금리 급등 사태와 같은 혼란을 피하기 위해 점진적이고 신중한 접근을 유지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자산 규모를 코로나19 이전 수준인 4조 달러로 되돌릴 계획은 없다”고 덧붙였다.

◇“고용시장 둔화 지속”…추가 금리인하 직접 언급은 피해

파월 의장은 지난달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이후에도 “경제와 물가 전망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며 추가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을 피했다. 그는 “노동시장이 여전히 타이트하지만 고용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면서도 “이민 감소와 경제활동참가율 하락으로 노동공급이 줄면서 고용 측면의 하방 위험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시장에서는 오는 10월 28~29일 열릴 FOMC 회의에서 추가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다만 파월 의장은 “고용과 물가 목표 사이의 균형을 고려할 때 위험이 없는 정책 경로는 없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일부 연준 인사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다시 높일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지급준비금 이자 폐지 땐 금리 통제력 상실”

한편, 파월 의장은 최근 의회 일부에서 제기된 ‘지급준비금 이자(Interest on Reserves)’제도 폐지 주장에 대해서도 강하게 반대했다. 이 제도는 시중은행이 연준에 맡긴 예금(준비금)에 대해 연준이 이자를 지급하는 정책으로, 단기금리를 조절하는 핵심 도구로 사용된다.

그는 “이 기능이 사라질 경우 연준은 단기금리 통제 능력을 잃게 될 것”이라며 “이를 유지하지 않으면 단기간에 대규모 채권 매각이 필요해 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미 상원은 연준의 지급이자 권한을 제한하는 법안을 찬성 14대 반대 83으로 부결시킨 바 있다. 파월 의장은 “연준의 정책 수행 능력을 훼손하는 조치가 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