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한국의 대미 투자를 두고 이견이 있지 않냐는 질문에 “악마는 디테일에 있지만 우리는 디테일을 해결하고 있다(ironing out the details)”고 말했다.
한미 양국은 3500억달러(약 499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를 둘러싼 관세 협상에서 교착 상태를 겪고 있다. 이와 관련해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오는 16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회담을 위해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한다. 이번 협상은 이달 말 열리는 APEC 정상회의를 앞둔 사실상 마지막 각료급 대면 협상으로, 양국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무제한 한미 통화스와프, 합리적 수준의 현금 투자, 투자처 선정 관여권 확보 등 한국의 ‘수정 제안’에 대해 미국이 일부 수용 의사를 보일지가 관건이다. 양측은 7월 관세 협상에서 상호 관세율을 25%→15%로 낮추는 대신, 한국이 대미 투자 3500억달러를 이행하는 데 합의했으나 구체적 이행 방식(현금·보증·대출 비중)을 두고 이견이 지속돼 왔다.
한국 정부는 ‘투자 백지수표’식 요구에 반대하며, 국내 부담 능력과 외환시장 안정성을 고려한 ‘안전판’ 확보를 중점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G20 재무장관회의와 IMF·세계은행 연차총회 참석을 계기로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만나 협상을 측면 지원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