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중국의 관료들이 전 세계 공급망과 제조 공정을 관리하도록 둘 수는 없다”며 “관련 대응 방안이 앞으로 몇 주 내에 협상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과 중국은 올해 초부터 최대 145%에 달하는 수입 관세를 90일간 유예하는 ‘관세 휴전’을 이어오고 있으며, 다음 마감 시점은 11월 10일이다.
베선트 장관은 이번에 이 휴전 기간을 “더 길게 연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그는 “구체적인 내용은 협의 중이며, 향후 몇 주간 협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중국은 지난주 자국산 희토류가 포함된 제품의 해외 수출에 대해 중국 정부의 사전 승인을 의무화하는 규정을 발표하면서 양측간 긴장이 고조됐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1월 1일까지 중국산 제품에 추가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말 한국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을 가질 준비가 돼 있다”며 “그 전에 자신이 아시아를 방문해 중국 측 부총리 리리펑과 만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의 희토류 공급 차질 이유에 대해 “중국 측은 휴일 때문이라고 설명했지만, 이는 글로벌 공급망을 책임질 능력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그는 “만약 중국이 신뢰할 수 없는 파트너가 된다면 세계는 ‘디커플링(탈동조화)’로 갈 수밖에 없다”며 “다만 미국과 동맹국은 완전한 분리보다 위험 축소(de-risking)를 추구한다”고 강조했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 상무부 부상 리청강(Li Chenggang)에 대해서도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리 부상이 8월 말 워싱턴DC를 예고 없이 방문해 ‘미국이 항만 요금을 부과하면 글로벌 혼란이 올 것’이라는 발언을 했다”며 “매우 무례하고 공격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한편, 베선트는 이번 주 워싱턴에서 열린 IMF·세계은행 연차총회를 계기로 “유럽연합(EU), 호주, 캐나다, 인도, 아시아국들과 (중국의 희토류 수출제한) 공조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며 “중국의 희토류 통제 시도에 대해 ‘전면적(fulsome)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