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총리 "즉각 대중관세 인하 어렵다…대화 물꼬 튼 것"

해외

이데일리,

2025년 11월 02일, 오후 09:31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8년 만에 정상회담을 한 이후 대화 물꼬를 트게 됐다는 평가다. 특히 캐나다 카니 총리는 즉각적으로 대중 관세를 해결하기 보다는 장기적으로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겠다고 언급했다.

카니 총리는 1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통상 문제 해결은 애초부터 현실적인 목표가 아니었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사진=AFP)
시 주석과 카니 총리, 양국 정상이 회담한 건 2017년 이후 8년 만이다. 카니 총리는 회담 이후 기자회견에서 이번 회담의 목표가 즉각적인 통상 문제 해결보다는 8년 만에 최고위급 관계를 수립하고 장기적인 무역 다변화의 물꼬를 트는 것이었다고 강조했다.

즉각적인 성과에 대해 선을 긋고 나선 것이다. 다만 장기적인 협력의 의지는 보였다. 카니 총리는 관세문제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면서도 청정에너지 분야 등에서 중국과 협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양국 간 통상 갈등의 핵심 쟁점 중 하나인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100% 관세를 완화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카니 총리는 “신중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답했다. 중국산 전기차 관세를 인하할 경우 중국산 전기차가 캐나다 시장에 대량으로 유입돼 자동차 산업에 충격을 줄 가능성이 있다. 신중한 답을 내놓은 이유다.

지난 2018년 12월 쥐스탱 트뤼도 전 캐나다 총리가 미국의 요구로 밴쿠버에서 중국 최대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 임원을 대이란 제재 위반 혐의로 체포한 것을 시작으로 양국 관계는 악화됐다. 중국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캐나다인 2명을 간첩 협의로 구금했다.

최근 캐나다와 중국 모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의 주요 표적이 되자 서로에게 다시 손을 내밀고 있다. 캐나다는 수출의 약 75%를 차지하는 미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무역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카니 총리는 지난달 연설에서 10년 내에 비(非)미국 수출을 2배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다만 캐나다가 미국의 눈치를 보는 상황에서 중국과의 협상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협상 테이블에 구체적으로 어떤 협상 카드를 내놓을지 불분명하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