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부산 김해공군기지 의전실 나래마루에서 미중 정상회담을 마친 뒤 회담장을 나서며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그 측근들은 공개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재임 중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며 “그들은 그 결과가 무엇인지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가 재임 중인 동안 중국은 대만과 관련해 어떤 행동도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대만을 공격할 경우 미군을 개입시킬지에 대한 질문에는 “내 비밀을 누설할 수는 없다”며 즉답을 피했다. 그는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나면 알게 될 것”이라며 “시 주석은 이미 그 답을 알고 있다”고 부연했다.
미국 정부는 오래전부터 중국이 대만을 무력으로 통일하려는 가능성에 우려를 표해왔다. 중국은 대만을 자국 영토의 일부로 주장하지만, 대만은 사실상 독립된 민주주의 국가로 운영되고 있다.
1979년 제정된 미 대만관계법은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경우 미군의 개입 의무를 명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대만이 스스로 방어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고 중국이 일방적으로 현상을 바꾸는 것을 막는 것이 미국의 정책이라는 점을 규정하고 있다.
대만 문제는 지난 수년간 미·중 정상회담에서 빠지지 않는 의제였다. 중국은 회담을 계기로 ‘대만 독립’에 대한 경고성 메시지를 수차례 밝혔다. 하지만 이번 회담에선 대만 문제를 거론하지 않고 경제·무역 논의에 집중했다고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임자들과 달리 대만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를 자제해 왔다. 지난 7월에는 라이칭더 대만 총통의 미국 경유 방문을 전격 불허했으며, 9월에는 대만에 대한 4억달러(약 5700억원) 규모의 군사 원조 승인도 거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