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사진=AFP)
블룸버그통신은 2일(현지시간)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인도 정부가 희토류 자석 생산을 위한 지원 예산을 기존 2억 9000만달러 수준에서 총 700억 루피(약 7억 8800만 달러) 규모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며, 현재 내각 승인을 앞두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계획은 미래 핵심 산업인 희토류 가공·자석 제조 기술을 자국 내에 구축·육성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기차·재생에너지·국방 산업에서 중국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앞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핵심 광물이 지정학적 무기로 변질돼선 안된다”며 안정적이고 다변화한 글로벌 공급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희토류 자석은 전기차 모터, 풍력 터빈, 첨단 무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핵심 소재다. 그러나 현재 세계 희토류 가공의 약 90%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어 글로벌 공급망이 극도로 편중돼 있다. 올해 4월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 갈등 국면에서 희토류 수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세계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이 공급 차질을 겪자, 인도 역시 자립 노력을 가속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인센티브 프로그램 확대 계획은 이러한 정책 기조를 구체화하는 조치로, 정부 보조금과 투자 유인책을 결합해 국내외 기업 유치를 노린다. 정부안에 따르면 약 5개 기업이 이번 지원 대상에 포함될 예정이며, 생산 연계형 인센티브(PLI)와 설비 투자 보조금 형태로 지원이 이뤄진다. 현재 중국은 인도 내 일부 업체에 희토류 자석 수입 허가를 승인했지만, 인도계 기업에는 아직 허용하지 않고 있다.
인도 정부는 희토류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기술 연구에도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동기 릴럭턴스 모터’(synchronous reluctance motor)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는데, 이는 희토류 없이도 고효율 전기 구동이 가능한 차세대 모터로 평가된다.
현재 인도의 연간 희토류 산화물 수요는 약 2000톤 수준으로, 글로벌 생산량으로 충분히 충족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일부 해외 공급업체들이 인도 시장 진출 의사를 밝히고 있으며, 정부는 이들을 현지 합작 투자 형태로 유도해 ‘메이드 인 인디아’(Made in India) 희토류 자석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인도의 희토류 산업이 여전히 여러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한다. 광물 채굴에는 방사성 물질이 동반돼 환경 위험이 크고, 정제 및 가공 기술력이 아직 중국에 비해 현저히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국내 생산이 상업적으로 채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만큼 보조금 의존도가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
중국이 최근 미국과 유럽연합(EU)을 대상으로 일부 수출 규제를 완화하면서, 동일 조치가 인도에도 확대될 경우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중국산 저가 자석이 다시 글로벌 시장에 풀릴 경우, 인도의 신규 투자 유인이 약화할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인도 정부는 이번 확충 계획을 ‘전략적 산업 자립’의 초석으로 삼겠다는 입장이다. 자국 내 희토류 자석 생산 역량을 확보해 장기적으로는 중국 중심의 공급망 구조를 완화하고, 국가 안보·산업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하겠다는 계산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