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AFP)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 수행 지지 여부에 대해 응답자 59%가 ‘반대한다’고 답했다. ‘찬성한다’는 41%에 그쳤다. 이 같은 부정 평가 비율은 2021년 1월 트럼프 지지자들의 의사당 난입 사태 직후 실시된 여론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공화당 지지자 중 트럼프 지지율은 86%로 강세를 유지했지만, 민주당 지지자 중 95%는 트럼프를 반대했다. 무당층에서는 트럼프의 지지율이 30%, 반대율은 69%였다.
◇주요 정책 전반에 불만 여론 우세
경제, 이민, 국제 등 주요 정책 전반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대응에 대한 불만 여론이 우세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37%, 반대는 62%였다. ‘취임(1월 20일) 이후 경제가 나아졌다’고 답한 비율은 27%에 불과했고 52%는 악화됐다고 답했다. 트럼프의 핵심 경제 정책인 광범위한 관세 부과에 대해서도 33%만이 찬성했고, 65%는 반대했다. 트럼프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지난 봄 이후 부정 여론에는 변화가 없었다.
이민 정책에 대해선 찬성 43%, 반대 56%로 반대 여론이 우세했다. 이민세관단속국(ICE) 요원의 불법 이민자 체포 및 추방 활동에 대해서는 전국적 작전이든 대도시 표적 작전이든 찬반이 반반으로 나뉘었다. 하지만 “당신이 사는 지역에서의 단속”에 대해서는 소폭 반대 의견이 더 많았다.
국제 문제에서는 2년간 이어진 가자전쟁의 휴전 합의를 이끌어낸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해당 사안에 대한 트럼프의 지지율은 전달(39%)에서 46%로 상승했다. 그러나 ‘트럼프가 이번 합의에 공을 세웠다’고 보는 비율은 ‘조금 혹은 전혀 없다’고 보는 사람보다 약간 적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한 트럼프 대통령의 대응에 대해 찬성한다는 응답은 39%, 반대한다는 응답은 60%로 나타났다. 또 ‘트럼프가 러시아를 너무 지지했다’는 응답(46%)이 ‘우크라이나를 너무 지지했다’(8%)보다 훨씬 많았다. 41%는 ‘적절하게 대처했다’고 답했다.
◇‘대통령 권한 확장 시도 지나치다’ 64%
취임 약 9개월 만에 트럼프가 ‘얼마나 많은 성과를 거뒀는가’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48%는 ‘상당한 혹은 꽤 많은 성과를 냈다’고 답했다. 이 중 38%는 ‘국가에 도움이 되는 성과였다’고 봤다. 10%는 ‘국가에 해로운 성과였다’고 했다. 반면 51%는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고 답했지만, 이는 2017년 9월 첫 임기 당시(65%)보다 낮은 수치다.
이번 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대통령 권한을 확장하려는 시도가 지나치다고 본 응답자는 64%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 3분의 2는 ‘나라가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답했고, 3분의 1만이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봤다. 다만,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응답 비율은 지난해 선거 직전의 24%보다 다소 개선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민주당에 대한 지지로 이어지진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 중간선거가 치러진다면’ 어떤 당을 지지하겠느냐는 질문에 등록 유권자의 46%는 민주당 후보를, 44%는 공화당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답했고, 9%는 투표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는 트럼프 1기 당시 같은 시점에서 민주당이 11%포인트 우위를 보였던 것이나 민주당이 하원 다수당을 탈환한 2018년 중간선거 직전 7%포인트 격차를 벌렸던 것보다 훨씬 좁아진 수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