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타오위안에 있는 한 인쇄소의 상자에 보관된 대만 업데이트된 민방위 핸드북 사본. (사진=로이터)
지난 9월 공개된 매뉴얼에는 적군 병력을 마주했을 때 시민들이 취해야 할 행동 요령이 처음으로 포함됐으며, ‘대만 항복’과 관련된 모든 주장은 허위로 간주해야 한다는 점이 명시됐다. 또한 시민들이 대피소를 찾는 방법과 비상용품 준비 요령 등 실질적인 대응 지침도 함께 담겼다. 이밖에 해저 케이블 절단, 사이버 공격, 선박 검문, 혼란 조성 등의 상황을 상정한 시나리오도 포함됐다.
이번 조치는 중국이 대만에 대한 군사적·정치적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핸드북 작업을 총괄한 린페이판 국가안전회의(NSC) 부비서장은 “이 책자는 우리 자신을 방어하겠다는 결의를 보여준다”며 “중국이 잘못된 결정을 내릴 경우 얼마나 큰 대가를 치르게 될지를 이해해야 한다. 대만인들은 서로를 지키기 위해 행동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대만 정부는 영어와 기타 외국어판 핸드북도 곧 배포할 계획이다. 또한 시민들이 개인 비상용 키트를 준비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한편 대만 유사시 대응을 놓고 중국은 일본과 관계가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는 지난 7일 중의원(하원)에서 “대만 유사시 일본의 집단 자위권 행사 요건인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발언하며 중국의 반발을 샀다.
중국은 “내정간섭”, “부적절한 언행”이라며 강력 반발했고 “불장난하는 자는 반드시 스스로 불탈 것”이라고 경고한 뒤 연일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최근 엑스(X)에 1972년 중일 수교 당시 공동성명을 인용하며 “일본은 누가 정권을 잡든 ‘하나의 중국’을 이해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약속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적었다.
앞서 중국 외교부는 지난 14일 다양한 채널을 통해 일본 정부에 엄중 항의 및 경고 입장을 이미 전달했다. 당시 주일 중국 대사관은 “최근 대만 문제에 대한 일본 지도자의 노골적인 도발 발언으로 중일 간 인적교류 분위기가 심각하게 악화했다. 일본 내 중국인의 신체와 생명 안전에 중대한 위험이 초래됐다”며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을 양국 갈등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목하기도 했다.
16알 오전에는 중국 해안경비대 소속 무장 선박 4척이 일본이 통제하는 센카쿠 열도 인근 해역에 무단 진입해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