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틸이 이끄는 헤지펀드 틸 매크로는 13F 보고서(운용 자산 1억달러 이상인 기관 투자자의 분기별 보고서)를 통해 올해 3분기 1억 달러(약 1462억 3000만원)에 가까운 엔비디아 지분 53만7742주 전량을 처분했다.
틸 매크로의 주요 보유 종목은 현재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테슬라 등이다. 틸 매크로는 3분기 동안 애플과 MS의 투자를 늘렸으며 테슬라 지분은 대거 매각했다.
벤처 투자자 피터 틸(사진=AFP)
영화 ‘빅 쇼트’의 실제 인물로 유명한 헤지펀드 매니저 마이클 버리는 최근 엔비디아와 AI 소프트웨어 업체 팔란티어의 하락에 베팅하고 있음을 공개해 화제가 됐다. 그는 엑스(X, 구 트위터)를 통해 엔비디아와 팔란티어에 대한 풋옵션을 매수했다고 밝혔는데, 풋옵션은 미래에 미리 정해놓은 가격으로 특정 자산을 팔 수 있는 권리로 주가가 하락해야 이익을 얻는 포지션이다. 그는 엑스에 “가끔 우리는 버블을 본다”라는 의미심장한 글도 남겼다.
이와 함께 그는 칩을 대거 구매하는 MS, 알파벳 등 하이퍼스케일러러의 회계 관행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이들이 최근 몇 년 동안 반도체 칩 등 설비투자 감가상각 기간을 연장해 비용을 낮추고 이익을 끌어올렸다고 주장했다. 이는 AI 반도체 기업, 스타트업, 데이터센터 운영사 등 생태계 전반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거래가 이어지면서 업계가 사실상 스스로를 떠받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은 지난달 58억 3000만달러(약 8조 5200억원) 규모의 엔비디아 보유 주식을 매도했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다른 AI 투자에 필요한 자금 확보 목적이 컸다. 틸과 손 마사요시(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같은 목적이라 보긴 어려우나 두 사람 모두 엔비디아가 시가총액 5조 달러를 돌파하는 시점에 보유 주식을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엔비디아 주가는 3분기 약 18% 상승했으나 이날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1.88% 하락 마감했다. 블룸버그는 “909개 헤지펀드의 13F 자료를 자체 분석한 결과 엔비디아에 대한 투자 심리는 정확히 양분돼 있다”며 “161개 펀드는 보유 지분을 늘렸고, 160개 펀드는 줄였다”고 전했다.
한편 틸의 벤처캐피털 펀드인 파운더스 펀드는 챗GPT의 개발사 오픈AI에도 투자해왔다. 피치북에 따르면 이 펀드는 2025년 3월 오픈AI가 3억 달러 가치로 평가될 당시 마지막으로 투자를 집행했다. 이밖에도 틸이 투자한 AI 스타트업으로는 서브스트레이트, 머코르, 코그니션AI 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