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공식회의에서 발언 중인 마이크 왈츠 주유엔 미국 대사.(사진=AFP)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와 중국은 기권했다. 이들은 결의안이 향후 가자지구의 미래에서 유엔의 역할을 명확히 하지 않고 있다며 비판적인 입장이다. 안보리 결의안이 가결되려면 안보리 15개 이사국 중 9개국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하고 상임이사국(미국·중국·러시아·영국·프랑스) 중에서 거부권이 나오지 않아야 한다.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지난달 8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가자지구 평화구상 1단계에 합의했다. 이번 결의안은 과도 통치기구인 평화위원회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유엔 회원국들의 가자지구 내 임시 국제안정화군(ISF) 배치에 근거를 제공할 것이라고 로이터는 평가했다.
결의안에 따르면 유엔 회원국들은 가자지구의 재건과 경제 회복을 감독하는 과도 통치기구인 평화위원회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결의안은 가자지구의 비무장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ISF를 승인하는데, 여기에는 하마스 무장 해제와 군사 인프라 파괴가 포함된다.
하마스는 성명을 통해 무장 해제를 받아들일 수 없으며, 이스라엘에 대한 투쟁은 ‘정당한 저항’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마스는 성명을 통해 “이번 결의안은 가자지구에 대한 국제적 보호 체제를 강요하는 것으로, 우리 국민과 각 저항 세력은 이를 거부한다”고 밝혔다. 이는 결의안이 ISF와 하마스가 충돌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로이터는 짚었다.
마이크 왈츠 주유엔 미국 대사는 이날 회의에서 “팔레스타인 자결권으로 가는 잠재적 경로를 제시한다”며 “로켓(무역 충돌)은 올리브 가지(평화)로 대체되고, 정치적 미래에 대한 합의 가능성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결의안은 하마스의 지배력을 해체하고, 가자지구가 테러의 그림자에서 벗어나 번영하고 안전한 곳으로 거듭나도록 한다”고 강조했다.
기권을 표한 바실리 네벤자 주유엔 러시아 대사는 표결 후 “실질적으로 가자지구를 평화위원회와 ISF의 통제하에 두게 되는 것이나 우리는 이러한 기구들의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 아무것도 알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는 결의안을 환영한다는 성명을 발표하며 이행 과정에 참여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PA가 결의안에 대한 지지를 공개적으로 선언한 것이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를 막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진정으로 역사적인 순간”이라고 환영했다. 그는 “평화이사회의 구성원 명단과 더 많은 흥미진진한 발표들이 앞으로 몇 주 안에 공개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자신이 가자지구 평화위원회가 의장을 맡고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하고 존경받는 지도자들”이 포함될 것이라며 “유엔 역사상 가장 큰 승인 중 하나로 기록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결의안은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의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어 이스라엘 내부에서는 논란이 되고 있다. 결의안은 “PA가 개혁 프로그램을 충분히 수행하고 가자지구의 재건이 진전되면 팔레스타인 자결권과 국가 수립으로 가는 신뢰할 수 있는 경로가 마침내 마련될 수 있다”고 명시했다. 이어 결의한은 “미국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대화를 주선하여 평화롭고 번영하는 공존을 위한 정치적 미래를 설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표결을 하루 앞둔 16일 이스라엘은 여전히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에 반대한다면서 가자지구를 “쉬운 방법이든 어려운 방법이든 반드시 비무장화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