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특징주]"엔비디아, 왕좌의 무게를 견뎌라"

해외

이데일리,

2025년 11월 19일, 오전 12:36

[이데일리 안혜신 기자] 엔비디아(NVDA)는 왕좌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것인가. 사방이 엔비디아 이야기다. 엔비디아가 재채기만 해도 전 세계가 독감에 걸릴 수준이다. 과연 엔비디아는 시장의 기대를 만족시킬만한 실적을 내놓고 인공지능(AI) 거품론을 잠재울 수 있을까. 그리고 그동안 부진했던 주가를 회복하고 AI 대장 지위를 탈환할 수 있을까.

18일(현지시간) CNBC는 엔비디아가 이번 실적 발표를 통해 다시 한번 AI 대장주 자리를 탈환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더 이상 AI 대장주라고 보기 어렵다. 올해 주가 상승률만 놓고 보면 엔비디아는 39% 상승했지만 같은 기가 주가가 두 배 뛴 어드밴스드마이크로디바이시스(AMD)나 48% 오른 브로드컴(AVGO)에 뒤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이데일리 김태형 기자]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달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의 그래픽카드(GPU) ‘지포스’ 출시 25주년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단기 상승률도 엔비디아는 지난 3개월 간 2% 올랐지만 AMD는 37%,브로드컴은 12% 각각 뛰었다.

크로스터포 데이널리 씨티그룹 애널리스트는 “낮은 주당순이익(EPS) 증가률 때문에 엔비디아는 AMD와 브로드컴보다 인기가 덜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하루 뒤 예정돼있는 엔비디아의 3분기 실적 발표는 향후 주가 흐름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CNBC는 이번 실적 발표가 엔비디아에 있어서 다시 AI 대표 종목 자리를 되찾을 수 있는 디딤돌이 될 것으로 봤다.

이날 스티펠 역시 실적 발표를 하루 앞두고 엔비디아 목표가를 상향했다. 스티펠은 엔비디아의 12개월 목표주가를 기존 212달러에서 250달러로 올렸는데 이난 전 거래일 종가 대비 34% 상승 가능한 수준이다.

CNBC는 “엔비디아가 다시 예전의 상승세와 시장에서의 강한 영향력을 되찾는다면 침체된 광범위한 시장에도 활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한 AI주에 대한 우려로 인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이번달에만 2% 이상 빠졌고, 나스닥종합지수도 4.3% 내렸다. 팩트셋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 29배에 거래되고 있다. S&P 500은 약 21배를 기록 중이다. 반면 AMD와 브로드컴의 선행 PER은 각각 39배, 36배에 이른다.

한편 이날 오전 10시16분 현재 엔비디아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12%(5.83달러) 하락한 180.7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AMD는 6.16% 빠지고 있고, 브로드컴도 1.87% 밀리고 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