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사진=AFP)
베선트 장관은 이달 초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경제 일부 영역에서 경기침체 같은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한 것과 관련해 “주택 시장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금리에 민감한 부문은 침체 상태”라고 말했다.
NBC 뉴스가 이달 초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등록 유권자의 약 3분의 2가 트럼프 행정부가 경제와 생활비 문제와 관련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답했다.
그럼에도 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안, 관세 정책, 무역 협정 덕분에 내년에 미국인들이 경제적 안도감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들로 인해 2026년을 매우 자신한다”면서 “일부 요소들은 이미 작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그는 올해 7월 제정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에 담긴 각종 감세안과 자동차 대출 이자 소득공제 등으로 인해 “2026년 1분기에 노동자 가정에 상당한 환급이 이뤄져 미국인의 실질 소득이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과 타결한 무역 합의 덕분에 미국 내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고도 전망했다.
그는 이번주 내로 건강보험료 인하와 관련한 정부 발표가 있을 수 있다고도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농산물 관세 면제가 관세의 물가 인상 효과를 인정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반박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은 서비스 경제 때문에 올랐다. 관세는 관련이 없다”면서 농산물 관세 면제는 중남미 국가들과의 무역 협상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9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3.0% 상승해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목표치(2%)를 크게 웃돌고 있다.
베선트 장관은 미 역사상 최장 기록을 세운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 중지)가 민주당에 의한 것이라면서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1.5%에 달하는 타격을 줬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주당은 의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막지 못해 결국 미국 국민에게 피해를 주는 방법(셧다운)을 택했다”면서 “만약 상원 민주당이 다시 정부를 셧다운한다면 상원 공화당은 즉각 필리버스터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워싱턴포스트(WP)에 “필리버스터는 더 이상 국가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이제 공화당이 이를 인정하고 상원에서 이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은 칼럼을 기고하기도 했다. 지난달 1일 시작돼 이달 12일에나 마무리된 셧다운은 건강보험제도인 ‘오바마케어’ 보조금 연장을 두고 집권 공화당과 야당인 민주당이 이견을 좁히지 못해 촉발됐다. 상원에선 필리버스터 없이 법안을 처리하려면 60표 이상 찬성이 필요한데, 현재 상원 구도상(공화 53석·민주 47석) 공화당이 근소한 우위이기 때문에 민주당의 반대에 법안 통과가 장기간 가로막혔다. 이에 상원 내 필리버스터 무효화 방안을 두고 내부적 충돌이 발생했다.
한편 해셋 위원장 역시 이날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내년은 절대적인 블록버스터급 해가 될 것”이라며 베선트 장관의 낙관론에 힘을 실어줬다. 그는 4분기 경제 성장률에 대해 셧다운으로 인해 연율 기준 전분기 대비 1.5%~2.0% 수준에 그칠 것이라면서도 “그 다음에는 정말로 뛰어 오르기 시작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9월 고용 보고서를 거론하면서 “예상치의 두 배였다”면서 “지난 9~10월 주요 기업들이 20개 이상의 신규 공장 건설을 착공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내년은 금리 인하의 해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우리는 코로나 이전 트럼프 1기 행정부 아래에서 강한 성장을 봤다. 그것이 다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