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스 자금 조달 방조"…바이낸스, 美서 반테러법 위반 혐의 집단소송

해외

이데일리,

2025년 11월 25일, 오전 07:51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중 하나인 바이낸스가 2023년 10월 발발한 하마스 전쟁과 관련해 ‘테러 자금 조달을 방조했다’는 이유로 미국에서 대규모 집단소송에 직면했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공격 피해자와 유족 300명 이상은 미국의 테러 지원자 처벌법 조항을 근거로 바이낸스와 회사 공동 창립자인 창펑 자오, 고위 경영진 광잉 첸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원고들은 바이낸스가 하마스, 레바논의 친이란 무장정파 헤즈볼라 등 미국이 외국 테러 조직으로 지정한 기타 단체에 10억달러 이상을 가상자산 거래를 통해 전달됐다고 주장했다. 특히 미국 정부가 지난 2023년 바이낸스를 자금세탁방지법 위반 혐의로 조사하고 벌금 43억 달러를 부과했던 사건 이후에도 일부 거래가 계속 진행됐다는 게 피해자 측 설명이다.

피해자 측 변호사 리 월로스키는 성명에서 “이번 소송은 바이낸스가 10월 7일 공격의 책임자들에게 수억 달러를 의도적으로 지원한 방식을 상세히 밝힌다”며 “기업이 가장 기본적인 대테러 의무조차 무시하고 이익을 선택했다면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하며, 그렇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피해자 측에 따르면 특정 디지털 지갑이 하마스, 헤즈볼라, 팔레스타인 이슬라믹 지하드(PIJ), 이란 혁명수비대와 연결됐다고 주장했다. 또한 베네수엘라에서 범죄 조직이 불법 채굴한 금을 이란으로 밀반출, 하마스와 헤즈볼라의 테러 자금으로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베네수엘라인 여성은 금 밀수 네트워크의 위장책으로 활동, 1억7700만달러 상당의 가상자산을 수령한 뒤 4300만달러를 현금으로 인출한 사례도 있었다고 전했다. 바이낸스가 2023년 유죄를 인정 이후에도 테러와 연루된 일부 활동을 지속했다는 게 피해자들의 주장이다.

다만 바이낸스가 미국에 본사를 두지 않지 않아 어디서 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지는 법적 논쟁의 대상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현재 뉴욕, 노스다코타, 앨라배마에서 총 4건의 소송이 진행 중이다.

뉴욕 연방지방법원은 원고 측이 바이낸스가 하마스의 테러 활동에 중요한 지원을 제공했음을 개연성 있게 주장했다고 지난 2월 판결했다. 반면 바이낸스 측은 “플랫폼 자체가 특정 공격과 명확한 연관성을 갖지 않으며 서비스는 전 세계 1억 명 이상에게 제공된다”고 반박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