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영부인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사진=AFP)
APFI는 브룩 롤린스 농무장관이 설립한 싱크탱크로, 트럼프 행정부 내각 장관급 인사 다수가 AFPI 출신이다. AFPI의 이민·통상·조세 정책 중 상당수가 올해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하면서 실행에 옮겨졌다.
AFPI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번 AI 정책은 △고임금 제조업 일자리 문제 △AI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는 방안 △외국의 적대 세력이 AI 기술을 활용하지 못하도록 막는 방안 등을 포함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크리스 스튜어트 전 공화당 하원의원은 “AI 개발 경쟁에서 미국 노동자를 우선순위로 두는 첫 종합적 시도”라며 “AI가 만들어낼 경제 전환 과정이 노동자들에게 보다 덜 부담스럽도록 하는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AI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 백악관은 각 주가 우후죽순 AI 규제를 만들 것을 우려해 주 차원 AI 규제를 제한하는 행정 명령을 준비 중이다. 미국 50개 주가 각기 다른 AI 규제를 도입할 경우 AI 개발이 위축될 것이라는 빅테크 기업들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다. AI 투자를 주도하는 빅테크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고액 후원자인 것과도 무관치 않다. AI 발 주가 상승은 트럼프 대통령이 내세우는 경제 성과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하지만 공화당에선 일자리를 위협하는 AI에 대한 반감이 높다. MAGA 진영 핵심 인사인 마조리 테일러 그린 공화당 의원과 트럼프 대통령의 당내 경선 경쟁자였던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는 주 차원 AI 규제를 지지하며 백악관의 행정명령에 반발하고 있다.
빅테크 기업의 AI투자가 중산층 및 서민들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도 확산하고 있다. 지난주 나온 폭스뉴스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58%는 향후 5년 동안 AI가 새 일자리보다 더 많은 일자리를 없앨 것이라고 답했다. 올해 뉴저지·버지니아·조지아 등 민주당이 승리한 선거에서는 전기요금 상승에 대한 유권자의 분노가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는데, AI 개발을 위한 데이터센터 확장이 이런 비용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WP는 “AI 규제를 둘러싼 논쟁이 최근 몇 주 사이 마가 진영 내 갈등 요인으로 부상했다”며 “정치인들은 향후 선거에서 생활비와 고용에 대한 광범위한 우려 속에서 AI가 더 중요한 쟁점이 될 것이라 보고 대응 채비에 나섰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