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노조연합, 3년 연속 ‘임금 5% 이상 인상’ 요구 결정

해외

이데일리,

2025년 11월 28일, 오전 12:21

[이데일리 임유경 기자] 일본 최대 노동조합 조직인 렌고(連合·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가 2026년 봄철 임금협상인 춘투(春鬪)에서 임금 ‘5% 이상 인상’을 요구는 투쟁 방침을 공식 결정했다. 렌고는 내년까지 3년 연속으로 평균 임금을 5% 이상 인상해, 물가상승률에 비해 마이너스를 기록 중인 실질임금을 1% 상승 궤도에 올려놓겠다는 방침이다.

도쿄 거리(사진=AFP)
28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이날 렌고는 치바현 우라야스시에서 중앙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6년 춘투 투쟁방침을 결정했다.

투쟁 방침은 기본급 인상 목표를 3% 이상으로 설정하고, 정기 승급분을 합칠 경우 5% 이상 임금 인상을 요구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를 줄이기 위해 중소기업 노조 대상으로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평균보다 1% 포인트 더 높은 6% 이상 인상을 요구하기로 했다. 아울러 비정규직, 계약직 노조의 경우 임금 7% 이상 인상을 목표로 제시했다. 비정규직에 대해 구체적인 목표치를 명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요시노 유코 렌고 회장은 인사말에서 “우리의 생활은 아직 여유를 체감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짚으며, “2026년 춘투를 앞으로의 일본의 향방을 결정하는 중대한 고비”로 규정하고 적극적인 노사 교섭을 주문했다.

렌고는 올해 춘투에서 평균 5.25%의 임금 인상을 이뤄냈다. 이는 지난해에 이어 두 해 연속 5% 인상을 달성한 것이다. 하지만, 중소기업 인상률은 4.65%에 그쳤다. 여전히 생활 향상을 실감하는 사람은 소수이고 개인 소비는 침체해 있는 상황에서 내년 춘투가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렌고는 물가 변동을 반영한 실질임금이 올해 1월부터 8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실질임금을 1% 상승 궤도에 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후생노동성이 이번 달 발표한 9월 근로통계에 따르면 1인당 실질임금은 9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해, 물가 상승에 임금 인상이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일본 재계도 임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 일본경제단체연합회인 게이단렌의 쓰쓰이 요시노부 회장은 9월 기자회견에서 “임금 인상의 강력한 모멘텀을 유지하고, 이를 더욱 확고히 정착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겨울에 발표될 춘투 경영 측 지침인 ‘경영노동정책특별위원회 보고서’에 이러한 방침을 명확히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