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깐족대 계엄" "코박홍"…홍준표·한동훈 고성 난타전(종합)

정치

뉴스1,

2025년 4월 25일, 오후 08:56

홍준표(왼쪽),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오픈스튜디오에서 열린 일대일 맞수 토론에 앞서 기념촬영을 한 후 자리로 향하고 있다. 2025.4.25/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에 진출한 한동훈·홍준표 후보가 25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책임론을 두고 정면 충돌했다. 홍 후보는 윤·한 갈등이 계엄을 촉발했다며 한 후보 책임론을 제기했다. 한 후보는 "대통령 옆에서 아부하던 사람이 계엄의 책임 있다"며 홍 후보를 정조준했다.

두 후보는 이날 서울 종로구 채널A 스튜디오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서로를 지목하며 각각 주도권을 가지고 1시간 30분씩 총 3시간 동안 진행됐다.홍 후보는 한 후보를 향해 "깐족댄다"는 표현을 10차례 이상 반복하며 "한 후보를 뽑는 사람은 진짜 정신 나간 사람" "진짜 방송 그만하고 싶다"고 거칠게 비난했다.

그는 "사사건건 깐족대고 사사건건 시비 거는 당대표를 두고 대통령이 참을 있을 수 있었겠나"라고 말하는가 하면, "겉으로 품격 있는 척하고 뒤로 엉뚱한 짓을 하고 그렇게 하니까 나라가 개판된 것 아니냐"고도 몰아붙였다.

한 후보도 강하게 맞받았다. 그는 '코박홍(코를 박을 정도로 90도로 아부한 홍준표)'이란 표현을 쓰며 "대통령 옆에서 아부하면서 기분 맞췄던 사람들이 계엄의 책임이 있다. 저는 계엄을 막았던 사람"이라고 응수했다.

홍 "계엄 막은 건 야당…한 "야당 단독 해제 땐 2차 계엄"
계엄 해제를 둘러싼 공방도 이어졌다. 홍 후보는 "계엄을 막은 건 야당이다. 한 후보는 숟가락만 얹은 것"이라며 "계엄 해제 주역이라고 자꾸 말씀하시는데 계엄 선포에 중요한 원인을 제공한 사람"이라고 공격했다.

이에 한 후보는 "독단적 생각"이라고 받아쳤다.이어"(야당) 단독으로 해제됐다고 한다면 윤 전 대통령이 계엄 해제를 선포하지 않고 2차 계엄이라든가 국회에 모여 있는 의원의 해산을 시도했을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고 강조했다.

한 후보가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 연루 의혹을 캐묻자 홍 후보는 "악의적으로 묻는 것 같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이어 한 후보는 "춘향전은 춘향이 따먹으려는 얘기" "분칠이나 하고 화장이나 하는 최고위원은 뽑으면 안 된다" "너 맞는 수 있다" 등 홍 전 시장의 과거 막말 논란을 집요하게 파고들었다.
그는 "보수의 품격을 떨어뜨리는 일"이라며 "홍 후보를 보면 정치를 오래 했다고 품격 생기는 거 아니다라는 걸 느끼면서 저러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한다"고 했다.

홍 후보는 이에 맞서 22대 총선 직후 관저에서 윤 전 대통령과 부부 동반 만찬을 한 일화도 공개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이 '한동훈이 이번에 압승했으면 국무총리를 시키고 내 후계자로 삼으려고 했다'고 말했다"고 주장하며 "윤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왜 배신했느냐"며 '배신자 프레임'도 거듭 부각했다.

또 "김 여사를 형수라고 불렀는데, 형수한테 못된 짓 하는 건 이재명 후보랑 똑같다"고 하자, 한 후보는 "누가 넥타이 주면 계엄 옹호해야 하나"고 받아쳤다.

'깐족'이라는 표현을 둘러싼 설전도 이어졌다.한 후보는 "일상생활에서 주변인들에게 깐족댄다는 말을 쓰는가"라며 "그런 표현 쓰면 안 된다. 폄하하는 표현"이라고 비판했다. 또 "굳이 따진다면 홍 후보가 페이스북에 쓰셨던 여러 가지 폄하하는 막말들 그게 깐족되는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홍 후보는 "오늘 깐족대는 것만 보고 다음부터 안 쓸 것"이라며 "깐족댄다는 표현을 모르고 저런다"라고 맞섰다.

한덕수 단일화 '찬성', 尹 탈당은 '본인 선택'
사사건건 부딪쳤던 두 후보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의 단일화 문제에 대해선 나란히 'O' 팻말을 들어 찬성 입장을 밝혔다.

홍 후보는 "한 권한대행뿐 아니라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비명(비이재명)계까지도 전부 빅텐트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한 후보도 "경선을 통해 국민의힘 후보가 결국 보수 전체를 대표하게 될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윤 전 대통령 탈당 문제에 대해서도 두 사람 모두 "본인 선택에 맡길 문제"라며 한 목소리를 냈다.

angela020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