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30일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방인권 기자)
이 대변인은 이 후보자가 지난 2018년 발표한 두 개의 논문을 짚으며 “두 논문은 제목부터 데이터 구조, 결론까지 완전 동일한 것으로 드러났다. 학계에 절대 용납되지 않는 학술지 중복 게재”라며 “게다가 해당 논문은 제자의 박사학위 논문과 ‘판박이 수준’이라고 한다”고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이 후보자가 책임저자로 참여한 또 다른 논문 중 하나는 표절 의심률이 무려 74%나 된다고 한다”며 “국내 대학이 허용하는 표절 의심률이 15%인 점을 감안하면, 이는 단순 표절이 아니라 아예 통째로 연구성과를 훔치는 도둑질이나 다름없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자가 자료 제출을 제대로 하지 않는다고도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이 후보자는 반성하기는커녕 뻔뻔하기까지 하다. 국회의 자료제출 요구에 제대로 응하지 않으며 국회인사청문제도를 우롱하고 있다”며 “이재명 정권에서는 법을 유린하고 양심이 없어야만 장관 후보자가 될 수가 있느냐”고 지적했다.
김희정 국민의힘 의원 역시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 후보자가 명확하게 해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 후보자가) ‘청문회에서 말하겠다’는 것은 사실상 ‘입 다물겠다’는 말”이라며 “김민석이 버티다 임명되니 나쁜짓만 따라 배운 듯. 왜 말 못 하나. 왜 자료 못 내나”라고 물었다.
이어 “해명할 자신 없으면 그 자리에 설 자격도 없다. 청문회는 면피용 시간이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