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남북 연락망 복원' 준비…"안보 저해 않는 범위서 고려"

정치

뉴스1,

2025년 7월 14일, 오전 05:15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에서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대화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7.10/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이재명 정부가 '남북 연락망 복원'을 검토하고 있다. '평화가 곧 경제'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철학에 따라 남북 긴장 완화를 위한 첫 단추 끼우기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

14일 여권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각 부처와 남북 연락망 복원을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남북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첫 단계가 대화 채널의 복구인 만큼 연락망 복원을 우선 과제로 두는 모습이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11일 취임 후 처음으로 주재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남북 소통 채널 복구를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당시 "남북 간 평화 공존이 우리 안보를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선택지"라며 "단절된 남북 관계 복원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남북 간 물적·인적 연결망과 비공식 연결망 현황을 구체적으로 물어보기도 했다고 한다. 남북 연락망은 지난 2023년 4월 모든 정기 통신이 단절된 이후 지금까지 복구되지 않고 있다.

대통령실은 연락망 복원을 포함해 남북 긴장을 완화할 방안을 열어 놓고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연락망 복원 문제와 관련해 "가급적이면 남북 간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에 대해서는 안보를 크게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고려해 볼 생각"이라며 "아직까지는 (논의가) 시작 단계"라고 전했다.

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대북 전단 살포 자제 유도 및 통제와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등 북한에 유화적인 메시지를 보내왔다. 지난 9일 동해·서해에서 표류하다 구조된 북한 주민 6명도 북한으로 송환했다.

이같은 일련의 조치는 남북 대화 채널 복원을 위한 밑 작업이라는 해석이다. 다만 북한 주민 송환 이후 북측의 반응은 아직까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송환 이후 북측에서 (관련 내용에 대해) 방송을 하는 등 반응은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이 대통령은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대화를 전면 단절하는 것은 정말 바보짓이다. 대화와 소통, 협력이 정말 중요하다"고 말했다.

hanantway@news1.kr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