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2022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2021.10.25/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문재인 정부 시기 주요통계 조작 의혹을 둘러싼 감사원의 감사 방식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당시 통계감사에 참여했던 감사원 내부 실무자들이 직접 해명에 나섰다.
이들은 '정치감사' 혹은 '강압감사'라는 일각의 주장에 강하게 반박하며 "증거가 명백한 상황에서 진술을 강요할 이유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감사원의 文정부 통계 조작 발표에 검찰, 文정부 인사 11명 기소…1심 진행 중
14일 정치권에 따르면감사원은 지난 4월 문재인 정부가 5년 임기 대부분 동안 주택·소득·고용 등 주요 국가통계를 조작하거나 왜곡했다는 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감사에 따르면 조작은 청와대 정책실의 지시 또는 압박에 따라 이뤄졌으며 문재인 정부 당시 정책실장 전원이 연루됐다.
해당 감사는 윤석열 정부 시절인 2022년 9월 착수돼 2년 7개월 만에 마무리됐다. 검찰은 통계법 위반 등의 혐의로 김수현·김상조 전 정책실장, 홍장표 전 경제수석, 김현미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 11명을 기소해 현재 1심 재판이 진행 중이다.
이런 가운데 한 언론사는 최근 재판 과정에서 부동산원 직원들이 감사원으로부터 조작 인정을 회유·압박받았다고 주장하며 그 정황이 담긴 녹취록을 공개했다. 감사원의 강압 감사 의혹을 제기한 것이다.
文정부 통계 조작 의혹에 "尹정부 출범 전부터 계획된 감사"
이에 대해 이날 통계 감사에 참여했다던 감사관 A 씨와 B 씨는 감사원 내부 게시판에 "정치감사가 아니었다"며 관련 의혹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디지털 로그와 내부 자료 등 명백한 증거에 따라 진행된 감사였다"며 "감사는 윤 정부 출범 이전부터 시작됐다"고 반론했다.
감사관 A씨는"당시 부동산원 직원이 잘못은 인정하지만 '조작'이란 표현은 자존심이 상하니 '부당한 조정'으로 써달라 요청했다"며 "통계 조작을 진술받기 위해 강요했다는 보도야말로 사실관계를 비틀고 조작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감사관 B씨는 별도의 수기에서 통계감사의 시작부터 전개 과정을 소상히 밝혔다. 그는 "2022년 6월 당시 다른 감사를 준비하던 중 국장 지시로 통계감사 준비를 맡게 됐다"며 "이 감사는 윤석열 정부 출범 전인 문재인 정부 시절에 이미 계획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포렌식으로 '주택통계 조작' 확인", 강압감사 몰아가는 것은 진실 가리는 일"
B씨는 이어 감사 초기에 '주택통계는 조작됐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접하고 부동산원 현장 조사 및 디지털 포렌식 등을 통해 이를 확인했다고 전했다.
그는 "매주 수많은 표본이 본사에서 일괄 수정되고 연말에 표본가격이 갑자기 3억 원 이상 오르는 등 기이한 현상이 반복됐다"며 "이는 전문가들이 제기한 조작 의혹을 뒷받침하는 내용이었다"고 주장했다.
두 감사관은 "우리는 그저 맡은 일을 충실히 수행했을 뿐"이라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A 씨는 "사실관계를 왜곡해 '강압감사'로 몰아가는 일부 언론 보도는 진실을 가리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B 씨 역시 "이 감사가 정치감사였다면 나 같은 비주류 감사관에게 주관을 맡기지 않았을 것"이라며 "감사관으로서 진실을 밝혀야 한다는 소명의식 하나로 버텼던 시간이었다"고 밝혔다.
mine12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