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한길 논란 속 지도부 입장 선회 기류…전당대회 영향력 어디까지

정치

뉴스1,

2025년 7월 20일, 오전 06:02

전직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가 18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 앞에서 신자유연대 등 보수 단체가 개최한 집회에 참석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석방을 촉구하고 있다. 2025.7.18/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새 당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앞둔 국민의힘이 '전한길 입당' 논란에 휩싸였다. 당 지도부는 논란이 커지자 "입당을 막을 순 없다"는 입장에서 "적절한 조치를 검토하겠다"며 한발 물러섰다.

전 씨는 최근 복수의 언론 인터뷰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하는 후보가 없으면 전당대회에 출마하겠다"고 밝혔다. 전 씨의 이런 발언은 실제 출마보다는 당 대표 후보군을 겨냥한 압박성 메시지라고 볼 수 있다.

20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3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하고 연 1회 이상 교육을 받아야만 피선거권(책임당원)이 생긴다. 지난달 9일 입당한 전 씨는 전당대회(8월22일)까지 책임당원이 될 수 없다.

물론 전 씨의 전당대회 출마의 길이 완전히 막힌 것은 아니다. 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심의·의결을 통해 전 씨에게 출마 자격을 부여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책임당원 지위를 줄 수 있다. 이 경우 전 씨는 3개월 당비만 납부하면 된다.

하지만 현재 송언석 비대위가 전 씨에게 이런 특혜를 줄 가능성은 크지 않다. 이런 특혜를 받은 경우 대부분 대선 후보급 인물들이었다.

가깝게는 지난 대선 당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이같은 절차를 밟았고, 2019년 전당대회 때도 당시 황교안 전 총리, 오세훈 전 서울시장에게 책임당원 자격을 부여했다.

송언석 "확인 후 조치 검토"…한동훈·안철수·김용태, 공개 출당 요구
이런 상황에서 전 씨가 연일 전당대회 출마 목소리를 내는 것은 당 내부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전 씨는 최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앞으로 8월 전당대회에 누가 나올지 모르지만 전한길을 품는 자가 바로 집권세력이 될 것"이라고 했다.

당 지도부로서 이런 전 씨의 행동은 부담이 될 수 있다. 가뜩이나 당 혁신안을 두고 당내 충돌이 커지는 가운데 윤석열 전 대통령을 옹호하는 발언이 분란의 씨앗을 더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송 원내대표는 전 씨의 언행에 대한 사실관계 확인과 함께, 당헌·당규에 따른 적절한 조치 방안에 대한 검토를 지시했다고 말했다.

다만 김문수 전 후보를 비롯한 일부 후보들과의 연대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

친윤(윤석열)계 신동욱 의원은 지난 17일 CBS 라디오에 출연해 "저희 지지자가 여러 스펙트럼이 있다. '계엄도 잘했다, 부정 선거' 이런 분들이 생각만큼 많지 않다"며 "당이 그분들하고만 가려고 한다는 프레임은 굉장히 나쁘다"고 했다.

김 전 후보 측근인 김재원 전 최고위원도 전날 YTN 라디오에서 "전 씨가 입당한다고 해 100만 명 중의 한 분 또는 300만 명 중의 한 분이고, 지켜보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 씨와의 연대 가능성에 대해서는 "생각해 보지 않았다"고 말을 아꼈고, 전 씨 출마 여부에는 "모든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여지를 남겼다.

반면 한동훈 전 대표와 안철수·김용태 의원등은 공개적으로 전 씨의 출당을 요구하고 있어 전당대회를 앞두고 전 씨를 둘러싼 계파 갈등이펼쳐질 가능성도 있다.

angela0204@news1.kr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