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직장인 든든한 한끼' 사업에…국힘 "왜 세금으로 밥값 지원?"

정치

이데일리,

2025년 8월 31일, 오전 10:33

지난해 4월 청계천에서 점심시간을 보내고 있는 직장인들의 모습. (사진=방인권 기자)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이재명정부 2026년 예산안에 포함된 ‘직장인 점심값 지원’ 사업에 대해,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용 포퓰리즘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최보윤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31일 논평을 통해 “정부가 내년 예산안에 ‘직장인 든든한 한끼’라는 이름으로 79억 원을 투입해 직장인 점심값을 깎아주겠다가 밝혔다”며 “세금으로 직장인 밥값까지 챙겨야 하느냐는 반발, 도시락을 싸오거나 점심을 거르는 직장인은 배제된다는 불만, 결국 식당 가격 인상으로 밥값만 더 올라갈 것이라는 우려가 잇따르고 있다”고 비판했다.

’직장인 든든한 한끼‘ 사업은 인구감소 지역 중소기업 근로자 5만 4000명에게 월 4만원 한도 내에서 점심값 할인을 주는 사업이다.

최 수석대변인은 “직장인에게 점심을 싸게 제공하겠다는 발상, 듣기에는 그럴듯해 보일지 몰라도 국민적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정책이 발표되자마자 비판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며 “특히 일자리조차 없어 끼니 해결이 어려운 청년과 노년층이 많은 현실에서, 굳이 직장인 점심을 세금으로 보조하는 것이 타당하냐는 근본적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미 국가채무는 사상 최대 규모로 불어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이런 사업을 밀어붙이는 이유는 뻔하다”며 “밥값을 깎아주겠다는 달콤한 구호로 직장인 표심을 겨냥하려는 것이다. 결국 내년 지방선거를 의식한 포퓰리즘, 보여주기식 선심 행정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최 수석대변인은 “이재명 정부의 ‘밥값 퍼주기’는 국민 생활을 돕는 것이 아니라, 물가만 자극하고 세대 갈등을 키우며, 미래세대에게는 빚만 떠넘기고 있다”며 “국민이 원하는 것은 점심 쿠폰이 아니라 안정된 일자리와 임금, 그리고 물가 안정이다. 정부는 국민 밥상까지 정치에 끌어들이는 포퓰리즘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