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 “‘민생 치안 최후 보루’ 경찰…국민 안전 수호 역할”

이재명 대통령이 21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80주년 경찰의 날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먼저 이 대통령은 “‘제80주년 경찰의 날’을 우리 국민들과 함께 진심으로 축하한다”면서 “대한민국 경찰의 존재 이유를 되새기는 이 뜻깊은 날, 해외 각국의 경찰 대표들께서 함께하고 계셔서 이 자리의 의미가 한층 더 각별하다”고 운을 뗐다.
이 대통령은 경찰을 ‘민중의 지팡이’, ‘민생 치안의 최후 보루’로 언급하며 국민 안전을 지키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왔다고 평가했다. 그는 산불과 여름철 집중호우 등 생사의 갈림길 속 피해자들을 구해낸 경찰관들이 있었기에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나라’가 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경찰이 국민에게 신뢰받는 공권력으로 인정받기 위해 △스마트 경찰 △민생 경찰 △민주 경찰이란 경찰 상을 제시했다.
스마트 경찰과 관련해 이 대통령은 “새로운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스마트 경찰’로 거듭나야 한다”면서 “시민과 함께 더욱 촘촘한 치안 협력 체계를 만들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해 주시길 바란다”고 했다. 이어 “국가 간 공조, 관계기관 간의 협업을 강화해 범죄 대응 능력을 높이고, 첨단 인공지능 기술을 범죄 예방과 치안 활동에 접목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민생 경찰과 관련해서는 “자치경찰제 단계적 확대, 수사·기소 분리라는 거대한 변화 앞에서 국민들께서 엄중히 묻고 있다”면서 “‘경찰의 권한이 늘어나면 우리 국민들의 삶이 더 나아지느냐’는 이 질문에 우리 경찰이 더욱 진지하게 응답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사의 책임성과 공정성, 그리고 신속성을 끊임없이 높여가며,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수사체계를 확립해 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또한 교제 폭력과 스토킹 범죄와 관련해 “늦장 대응으로 소중한 생명을 잃는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더욱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최근 심각한 사회 이슈로 떠오른 마약 문제와 관련해서도 “공급부터 투약까지 유통 과정 전반에 대한 대응을 확실히 강화하고 수사·치료·재활이 연계되는 유기적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마약이 우리 국민들의 일상에 침투하는 것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민주 경찰과 관련해 이 대통령은 지난 12월 3일 벌어진 내란 사태를 언급하며 “극히 일부이긴 하지만 경찰 지휘부가 최고 권력자의 편에 서서 친위쿠데타에 가담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주권정부는 그 오욕의 역사와 불명예를 씻어내고 우리 경찰이 헌법과 국민을 수호하는 민주 경찰로 온전히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경찰의 중립성을 확보하고 민주적 통제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는 원칙은 14만 경찰 가족들에게도 예외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아울러 다가오는 APEC 정상회의에서도 경찰이 치밀하고 빈틈없는 대응으로 대한민국의 국격과 위상을 전 세계에 보여줄 것이라 확신하며, ‘경찰이 이 나라의 주춧돌’이라고 강조했다.
◇ 李, ‘보이스피싱범’ 검거 경찰관 등에 표창

이재명 대통령이 21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80주년 경찰의 날 기념식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행사에는 올해의 경찰영웅 유가족과 순직 경찰 유가족, 치안 협력단체, 현장 경찰관과 신임 교육생뿐만 아니라 주한대사와 해외 경찰 관계자 등 30개국 치안 책임자가 참석했다.
행사는 개식 선언, 국민의례, 경찰청장 직무대행 인사말, 주제 영상 상영, 올해의 경찰영웅 현양, 유공자 포상, 기념사, 희망 대합창, 경찰가 제창 순으로 진행됐다. 올해의 경찰영웅 현양에서는 고(故) 전창신 경감과 고(故) 이기태 경감을 추모한다. 전창신 경감은 3·1운동 당시 함흥 만세운동을 주도하고 약자를 보호했으며, 이기태 경감은 2015년 지적장애 청소년을 구조하다 순직했다.
유공자 포상에서는 휴가 중 보이스피싱범을 검거한 대전서부경찰서 이진웅 경사에게 이 대통령이 직접 표창을 수여했다. 홍조근정훈장 30명, 근정포장 31명, 대통령 표창 210명, 총리 표창 225명이 각각 수상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기념식을 통해 경찰의 헌신과 책임을 되새기고, 국민과 함께 신뢰받는 경찰상을 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