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병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이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 국회(정기회) 제3차 예산안등조정소위원회에서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간사와 대화하고 있다. 2025.11.19/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안조정소위원회에서 정부가 편성한 예비비를 두고 "정부에서 여러 고려를 했겠으나 내로남불, 안면몰수로 편성했다"며 "지난해 민주당은 예비비가 과다하다며 일방 삭감하더니 여당이 되니 4조2000억 원을 편성한 것은 꼼수 아닌가"라고 말했다.
반면 박민규 민주당 의원은 "예측 불가능한 정부의 행정 보장을 위해 삭감이 아닌 원안대로 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같은 당 임미애 의원도 "정상적 부처 운영을 위해선 평시 복원이 타당하다"고 했다.
예결위 민주당 간사인 이소영 의원은"작년 예산안이 통과됐던 날은 12·3 계엄 이후인 12월 10일이었다. 협의 과정에서 계엄이 일어나서 여야 간 여러 조정이 있었고, 조정할 문을 (당시) 여당이 닫았다는 사실관계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며 "국민과 야당을 설득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고 계엄이란 군사적 방법을 동원했던 부분을 감안해야 한다"고 했다.
여야 간 설전이 오가자 민주당 소속 한병도 예결위원장은 일단 보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한미 관세협상 관련 예산을 두고도 공방이 벌어졌다.
김 의원은 "정확한 내용이 없어서 향후 추진 계획 자체가 깜깜이라 전혀 국회에서 알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기획재정부 측은 "조만간 대미투자특별법을 제출할 것이고 거기에 공사 기금 등 관련 내용이 포함돼 있다"며 "그때 설명 과정에서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관세협상과 관련해 야당 의원들의 지적이 이어지자 이 의원은 "8월 정부안을 짤 때 한 것인데 (그때는) 대미협상의 윤곽이 전혀 안 드러나서 가안으로 나눠 임시 배정한 것"이라며 "이견이 있다면 보류하고 지도부 논의 맞춰서 하면 될 것 같다"고 중재안을 제안했다.
한 의원은 "전액 감액 후 다시 논의하겠다"고 했고, 이 의원은 "증액은 추후에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국세청의 국세체납관리단 사업 예산을 둘러싼 논란도 불거졌다. 조 의원은 "기간제 근로자 500명을 채용해 모든 체납자를 한 번 이상 방문해 유형을 분리하고, 체납 처분을 실시하겠다는 내용이 맞는가"라며 "(해당 업무는) 고도의 전문성이 있어야 되는 것인데 준비도 안 됐고, 매우 부적절하다"고 반대 의견을 냈다.
이에 박 의원은 "체납도 가서 보면 여러 가지 실태조사가 의미 있다"면서도 "약간의 제도 보완이 필요하고, 연계할 수 있는 걸 찾아야하기 때문에 예산은 동의하나 추가로 (논의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서울시가 마포구 상암동에 설치하기로 한 광역자원회수시설(소각장)을 둘러싼 언급도 있었다.
조 의원은 "마포에 제2소각장을 짓지 않으면 서울 북부 전반에 쓰레기 대란이 발생한다. 정당과 진영을 넘어 어떻게든 답을 찾아야 한다"며 "보류해 주고, 논의한 뒤에 자세히 저도 (의견을) 드리도록 하겠다"고 했다.
임 의원은 "지금 (소각장 관련해서) 소송 중이고, 마무리되지 않았음에도 분쟁이 있는 지역 주민 의사와 무관하게 (예산을) 편성한다는 거 자체가 주민에게 주는 메시지가 남다르다"며 "일단 삭감하고, 소송이 끝난 다음에 다시 편성하는 게 맞다"고 지적해 결국 보류됐다.
이외에도 조달청이 추진하는 공공혁신 수요기반 혁신기술제품개발 R&D 사업 예산 등도 보류됐다.
liminalline@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