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9일 대구 수성구 수성알파시티를 찾아 입주기업인 스피어AX 융복합관제센터에서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CCTV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2025.11.19/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19일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반영 비율을 1대1로 맞추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을 위해 전 당원 의견수렴 투표에 돌입했다.
이번 개정은 시작 전부터 참여 자격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이에 일부 당원들은 투표 첫날부터 반대표 인증 글을 올리며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9시부터 20일 오후 6시까지 당헌·당규 개정안에 대한 의견수렴 당원 투표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투표 안건은 △1인 1표 찬성 여부 △1차 예비경선의 권리당원 100% 투표 찬성 여부 △광역의원·기초의원 비례대표 후보 선정에 100% 권리당원 투표 찬성 여부 등 3가지다. 핵심은 당대표·최고위원 선출 때 대의원·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 '20:1 미만' 규정을 삭제하는 내용이다.
◇ 전 당원 투표→여론조사 번복…"원칙 없다" 비판도
논란의 중심은 투표 참여 자격 완화다. 기존엔 6개월 이상 당비를 계속 납부한 권리당원만 가능했지만, 이번 투표에선 지난달 당비를 낸 신규 당원도 참여할 수 있게 했다.
이를 두고 당 일각에서는 정 대표 취임 이후 유입된 신규 지지층을 결집하기 위해 기존의 투표 룰을 임의로 변경한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자 당 지도부는 "이번 절차는 의결 투표가 아니라 권리당원의 의견을 묻는 여론조사 차원"이라고 입장을 바꾼 바 있다.
원 내외 친명 인사로 구성된 더민주혁신회의는 이날 논평을 내고 "원칙 없는 번복은 당원의 신뢰를 무너뜨린다는 점에서, 당 지도부는 이번 혼란의 발생 원인과 절차에 대한 명확한 해명과 책임 소재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비판했다.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정식 의결에 앞서, 당원께 먼저 보고드리고 의견을 구하는 민주적 과정"이라며 "1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 164만 7000명 모두가 참여 대상이다. 가능한 한 폭넓게 당원의 뜻을 듣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 당원 반발 확산…"절차 불투명·안전장치 미비" 지적
'당원 주권'을 내세운 개혁안임에도 매끄럽지 않은 과정으로 당원들의 의견도 극명히 갈리고 있다.
일부 당원들은 인터넷 커뮤니티에 세 가지 안건 모두에 반대표를 던졌다며 투표 인증 글을 올렸다. 또한 "과정도 투명하지 않고, 이재명 대통령이 (해외 출장 등으로) 없을 때마다 논란이 커진다", "신천지, 통일교가 경선에 끼칠 영향력을 걸러낼 안전장치가 있는지 설명한 적도 없는데 1인 1표제로 가기 위한 여론조사를 한다니", "투표 자격을 왜 본인 마음대로 바꾸냐" 같은 반응이 나오고 있다.
1인 1표제 그 자체에 대한 우려도 계속된다.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뉴스1에 "의원들의 지역구 활동과 당의 중요 행사 때마다 가장 많이 도와주는 것이 대의원인데 이들의 활동에 대한 보상은 있어야 한다"며 "그동안 대의원들의 투표 비율로 당심이 왜곡되지 않았던 면도 있는데 이런 요소를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초선 의원은 1인 1표 시행으로 TK 등 민주당의 당원 수가 적은 험지에서 오히려 '지역 대표성'이 약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전략 지역에 대한 대표성 보완 장치 없이 제도부터 바꾸는 건 문제"라고 했다.
민주당은 20일 의견수렴 투표를 마친 뒤 당무위원회·중앙위원회에서 최종 의결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say1@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