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HN 최준서 인턴기자) 한일전 3연패를 한 한국이지만 홍명보 감독은 경기력에 만족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5일 용인미르스타디움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3차전에서 일본에 0-1로 졌다. 패배한 한국은 동아시안컵을 2위로 마무리했고 사상 첫 한일전 3연패를 기록했다.
한국은 스리백으로 나왔다. 나상호, 주민규, 이동경이 전방에 위치했고 이태석, 서민우, 김진규, 김문환이 중원을 조율했다. 스리백은 김주성, 박진섭, 박승욱으로 나왔고 조현우가 골문을 지켰다.
선제골의 몫은 일본이었다. 전반 7분 좌측에서 올라온 크로스를 침투하던 저메인 료가 간결한 슈팅으로 마무리했다. 이후 한국은 득점을 노렸지만 0-1로 패배했다.

경기 종료 후 홍명보 감독은 "결과, 실점 장면 모두 아쉽지만 그 외에는 선수들이 충분히 좋은 경기력을 보여줬다"며 경기를 평가했다.
일본 평가에 대한 질문에는 "양 팀 놓고 봤을 때 우리 선수들이 더 잘했다고 본다. 일본이 가진 장점을 크게 발휘하지 못했다. 몇 장면이 있었지만 수비에 위협이 안 됐다. 점유율과 슈팅 숫자 등 모든 면에서 앞섰다. 집중력이 떨어져 실점을 하긴 했지만 잘했다. 스리백으로 3경기를 했는데 결과를 못 낸 것은 아쉽고 팬들에게 죄송하지만 선수들에게 큰 희망을 봤다"고 말했다.
인터뷰를 본 팬들은 분노했다. 좋지 않은 결과에 더불어 경기 내용 또한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원 싸움 패배
전반 초반 실점한 한국은 공을 계속 보유하면서 경기를 이어갔지만 위협적인 장면은 만들지 못했다. 한국은 일본의 강한 압박에 고전했고, 중원에서 수가 완전히 밀렸다.
일본도 3-4-3 전술로 나섰고, 내려선 수비를 제외하고 5명이 압박했다. 이 숫자에 서민우, 김진규가 고립돼며 공을 받을 수 없었고, 한국의 스리백은 전방에 공중볼만 연결했다. 이러한 답답함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김주성, 박승욱이 볼을 잡고 전진하거나 전방 공격진들이 중원으로 많이 내려와 연계를 이어가야 한다.
그러나 한국은 반복된 패턴을 고수했고, 윙백과 센터백 사이에서만 공이 돌며 'U자 빌드업'이 계속됐다. 한국의 점유율은 높았지만 실질적인 공격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활용하지 못한 투톱
한국은 득점을 위해서 후반 29분 이동경을 빼고 오세훈을 투입하며 전방에 장신 공격수 2명을 활용했다. 하지만 그 효과를 보지 못했다. 측면을 활용한 크로스 패턴 없이 똑같이 후방에서 직선적으로 전방에 연결했다.
후반 39분 김주성을 빼고 정승원을 투입하며 포백 전환 및 측면 크로스를 활용을 예상했지만, 홍명보 감독은 오히려 이태석 혹은 서민우를 내리며 후방에 3명을 계속 고집했다.

이러한 경기 내용과 홍 감독 인터뷰에 팬들은 화가 났다. 월드컵이 1년 남은 상황에서 한국이 강팀을 꺾을 수 있다는 가능성이 희미해졌기 때문이다.
팬들이 결과만 원하는 것은 아니다. 일본에게 질 수 있고, 약팀에게도 패배할 수 있다. 경기 내용에 긍정적인 점이 보인다면 팬들도 계속 응원할 것이다. 포메이션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선수들이 전술을 통해 유기적인 움직임을 가져가며 상대를 공락한다면 팬들은 좋은 반응을 보낸다.
그러나 한일전 홍 감독은 스리백을 계속 고집하며 답답한 경기력을 보여줬고, 같은 패턴만 사용했다. 더해 안정적으로 경기를 운영하고 한국에 잘 대응한 일본과 비교됐다.
결국 문제는 결과가 아니라 방향이다. 반복되는 답답한 속에서도 한국 축구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선, 지금 이 상황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필요하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