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SEN=이인환 기자] 이번 사건서 대중이 가장 놀란 것은 아마 심판협의회가 역대급으로 빠르게 대응한 사실일 점이다. 자신들에게는 한 없이 관대한 심판협의회의 행보에 팬들의 시선이 차갑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19일 상벌위원회를 열고 전북 현대 타노스 코치의 인종차별 행위 의심 논란에 관한 징계 여부를 결정한다.
심판협의회는 지난 12일 보도자료를 통해 “전북현대 타노스 코치가 지난 8일 경기 중 심판을 향해 ‘인종차별 행위 및 비하 발언'을 했다”라며 “이는 국제축구연맹(FIFA) 제13조 및 대한축구협회(KFA) 윤리규정 제14조(차별 및 명예훼손)에 위배되는 중대한 위반 행위다.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FIFA 등 관련 기관 제소 및 행정적 조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알렸다.
그러면서 한국프로축구연맹과 KFA에 ▲해당 코치 및 소속 구단에 대한 즉각적인 징계 절차 착수 및 결과 공개 ▲피해 심판에 대한 공식 사과 및 보호 조치 시행 ▲향후 모든 구단 및 지도자를 대상으로 한 인권·윤리 교육 강화 프로그램 마련 ▲유사 사건 재발 시 무관용 원칙에 따른 최고 수위 제재 적용 등 4가지를 강력 요구했다.
심판협의회가 문제로 삼고 있는 장면은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대전하나시티즌전 후반 추가시간 때 눈 옆으로 손을 갖다 대 김우성 심판 판정에 항의한 타노스 코치의 행동이다. 대전의 핸드볼 반칙으로 전북에 페널티킥이 주어지는 과정에서 심판을 향해 계속 항의한 타노스 코치는 경고를 피하지 못했다.
타노스 코치는 온필드 리뷰를 거쳐 페널티킥이 선언된 뒤에도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해 결국 퇴장까지 명령받았다. 직후 그는 양 검지로 눈을 가리켰다. 이는 자칫 보는 각도에 따라 두 눈을 찢는 ‘동양인 비하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데, 심판협의회는 전북 입장을 제대로 들어보지도 않고 이를 ‘인종차별’ 행위로 확정하며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피해자의 눈물이 증거라는 것일까. 심판협의회측은 지난 10일 제출된 심판평가관 보고서와 경기감독관 보고서, 그리고 김우성 심판이 작성한 사실확인서 등을 통해 일관적으로 인종 차별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 화면을 본 대중들은 상황을 바탕으로 판단하면 그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 분위기다.
심판협의회와 일방적인 주장과 달리 대중의 일반적인 시선은 '눈을 찢은 것'이 아니라 '눈에 손가락을 가져다 대면서 똑바로 보지 않았나'라고 타노스 코치가 항의했다는 것에 힘이 실리고 있다. 실제로 전북 구단에서 타노스 코치에게 물었을 때 "눈 쪽으로 손가락을 가져간 건 심판한테 ‘눈으로 보지 않았냐’ 어필하기 위한 행동이었다”라고 대답했다.
해외에선 눈 부근으로 손을 가져다 대며 심판 판정에 항의하는 선수들이 종종 있다. 핑거드 아이 혹은 글래스드 온 아이라고 불리는 제스처를 통해 타노스 코치는 심판의 판정에 아쉬움을 나타낸 것이 유력하다. 그럼에도 심판협의회는 일방적으로 인종 차별을 외치고 있다.
경기 운영에 전권을 가진 주심이기에 만약 타노스 코치가 지나친 항의로 징계를 받는다고 하면 그것도 논란의 여지가 크나 어느 정도 받아들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일방적으로 경기가 끝난 직후 심판 보고서를 통해 인종 차별을 울부짖고 있는 상태다.
거기다 심판협회의 회장은 지난 달 전북에 희대의 오심을 안긴 장본인이다. 당시 한순간 오판으로 전북의 조기 우승 확정을 미룬 꼴이 됐는데, 직후 신속한 입장 표명은 없었다. 꽤 시간이 흐른 뒤 KFA 심판위원회가 나서 대신 사과하고 출전 정지 징계를 내렸다. 
그런데 심판협의회는 피해자가 될 상황에 놓이니 신속한 보도자료를 통해 사과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상벌위를 앞두고 전북 구단은 "타노스 코치에게 비윤리적 행동은 없었다. 관련 내용 정리해서 13일 연맹에 경위서를 보내 오해를 풀었다”라고 선을 그었다. /mcadoo@ose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