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나요? ‘7세 고시’…영어 공교육이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생활/문화

MHN스포츠,

2025년 4월 24일, 오후 07:04

(MHN 조민서 인턴기자) 초등학교 입학 전의 아동이 유명 학원에 다니기 위해 치르는 '7세 고시' 현상이 확산되며 사회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7세 고시’는 만 5~6세 유아가 에세이 작성, 면접, 구술 시험 등을 통해 명문 영어유치원 또는 고가 사립 영어학원에 입학하기 위해 준비하는 일종의 조기 입시이다.

하루 5시간 이상, 많게는 9시간에 달하는 몰입식 영어 수업이 이뤄지며, 연간 수강료는 3,000만 원을 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지난 2월 방송된 KBS '추적 60분'을 통해 이러한 실태가 조명되며 대중적 관심을 받았다.

문제는 이 같은 고강도 조기 사교육이 법적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점이다. 유아 대상 영어학원은 '학원법' 적용을 받기는 하지만, 유아 발달에 맞춘 교육 내용이나 운영 시간에 대한 구체적 기준은 부족하다.

교육기관이 아닌 사교육기관으로 분류돼 있어 교사 자격, 커리큘럼, 안전관리 등의 영역에서 사실상 공적 감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와 맞물려 초등학교 1~2학년 대상 영어 공교육 조기 도입 논의도 본격화되며 논란을 더하고 있다.

지난 22일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열린 에서는 ‘초등학교 1, 2학년 영어교육의 과제와 전망’을 주제로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김혜영 중앙대학교 교수는 “영어는 세계시민 교육의 필수 요소로, 공교육에서도 조기 도입이 필요하다”며 “세계 평균 영어교육 시작 연령은 7.5세이며, 한국은 EF 영어능력지수(EPI) 기준 비영어권 국가 중 50위로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경제 격차로 인한 교육 불공정, 무자격 교사에 의한 부실 교육 문제를 해소하고 중학교 진입 이후의 영어 부진 문제를 막기 위해서라도 조기 공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서울 신석초 오지윤 교사는 전국 초등교사 4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소개하며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제안했다. 해당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5%가 찬성, 27.5%는 중립, 27.5%는 반대 의견을 보였다.

오 교사는 “찬성 측은 사교육 현실을 고려해 공교육이 방향성을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이었고, 반대 측은 선행학습 과열과 모국어 교육의 우선 필요성, 수업 시수 확보와 교사 전문성 부족 등을 문제로 지적했다”라고 설명했다.

정신건강 전문가들도 조기 학습 환경이 아동의 뇌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김붕년 서울대학교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는 “4세에서 7세는 전두엽 연결망이 형성되는 민감한 시기”라며 “이 시기 학습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우울, 불안은 물론 공격성과 반항으로 이어질 위험도 크다”라고 지적했다.

‘7세 고시’는 단순한 사교육 트렌드를 넘어 공교육 불신과 조기 경쟁 중심 사회 구조가 낳은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영어교육의 조기 도입이 불가피한 흐름이라면, 아동의 권리와 발달을 보장할 수 있는 명확한 제도 기준과 공적 감독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사진=KBS 1TV '추적 60분', 서울교육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