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 생명의 비밀을 밝히다 [역사&오늘]

생활/문화

뉴스1,

2025년 4월 25일, 오전 06:00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 (왓슨 사진 출처: National Cancer Institute,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 (크릭 사진 출처: Unknown author, CC BY 4.0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via Wikimedia Commons)
1953년 4월 25일, 과학 역사상 가장 중요한 논문 중 하나가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됐다.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생명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물질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밝혀낸 연구 결과였다.

DNA의 존재는 이미 19세기 후반 프리드리히 미셔에 의해 처음 밝혀졌다. 하지만 그 복잡하고 정교한 3차원 구조는 오랫동안 과학자들의 풀리지 않는 숙제였다. 왓슨과 크릭은 기존의 생화학 및 X선 회절 데이터를 종합하고, 특히 로잘린드 프랭클린과 모리스 윌킨스의 결정적인 X선 회절 사진을 통해 DNA가 나선형 구조라는 단서를 얻었다.

두 사람은 DNA 분자가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사슬이 꼬여 있는 이중 나선 구조이며, 아데닌(A)은 티민(T)과, 구아닌(G)은 시토신(C)과 수소 결합으로 특정하게 쌍을 이룬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발견은 유전 정보의 저장과 복제에 대한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설명했다.

왓슨과 크릭의 DNA 구조 규명은 생명 과학의 모든 분야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유전학, 분자생물학,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발전을 촉진했으며, 질병의 원인 규명, 신약 개발, 유전자 치료 등 현대 의학의 발전에 핵심적인 토대를 제공했다. 또한, DNA 분석 기술은 범죄 수사, 친자 확인 등 사회 여러 분야에서도 활용되며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하지만 DNA 구조를 밝히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던 로잘린드 프랭클린은 안타깝게도 1958년 젊은 나이에 사망해 196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왓슨, 크릭, 윌킨스와 함께 영광을 누리지 못했다. 그의 헌신적인 연구와 데이터가 없었다면 DNA 구조 규명은 훨씬 더 오랜 시간이 걸렸을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DNA 구조 논문은 인류가 생명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이정표 중 하나다. 이 기념비적인 연구는 생명 과학의 발전을 이끌고, 인류의 삶에 끊임없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

acene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