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와 국가유산진흥원이 주최·주관하는 ‘2025 궁중문화축전’이 25일 개막제를 시작으로 26일부터 5월 4일까지 9일간 서울 5대 고궁(경복궁·창덕궁·덕수궁·창경궁·경희궁)과 종묘에서 열린다.
2024년 궁중문화축전. (사진=국가유산진흥원)
개막제는 25일 오후 7시 30분 경복궁 흥례문 광장에서 ‘꽃이다!’를 주제로 열린다. 전통예술과 미디어가 어우러지는 복합 공연으로 국립국악원, 서울시무용단, 국가유산진흥원 예술단 등이 참여한다. 뮤지컬 배우 김소현과 소리꾼 김준수의 특별 무대도 마련돼 있다.
올해 궁중문화축전은 ‘전통을 일상처럼 즐기는 축제’를 지향한다. 예약 없이 현장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을 확대했다. 어린이, 청소년, 노년층, 외국인, 사회적 배려 대상자 등을 위한 맞춤형 행사를 마련해 ‘관람객 중심의 참여형 축제’를 선보인다.
2024년 궁중문화축전. (사진=국가유산진흥원)
경복궁에서는 ‘시간여행, 세종’으로 내·외국인 관람객을 맞이한다. 세종대왕의 업적을 주제로 한 참여형 행사이다. 관람객은 궁궐 수습생인 ‘궁중새내기’가 되어 병과(餠菓), 공예, 무용, 회화 등 네 가지 활동을 체험해 볼 수 있다.
경복궁 곳곳에서 펼쳐지는 ‘궁중 일상재현’ 연극과 야간 자유 관람 ‘한밤의 시간여행’도 함께 운영한다. ‘시간여행, 세종’은 26일부터 30일까지 5일간 진행하며 일부 프로그램은 사전 예약이 필요하다.
창덕궁에서는 ‘아침 궁을 깨우다’로 고요한 아침 창덕궁의 특별한 모습을 만난다. ‘아침 궁을 깨우다’에서는 창덕궁을 산책하며 창덕궁과 관련된 역사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회차도 마련하며 프랑스 출신 방송인 파비앙이 진행을 맡는다. 오는 30일부터 5월 4일까지 5일간 하루 2회(오전 7시 30분·8시) 총 10회 운영하며 사전 예약이 필요하다.
덕수궁 중명전에서는 ‘황제의 식탁’을 처음 선보인다. ‘황제의 식탁’은 외국인 관람객을 대상으로 하는 ‘한식 국빈 연회’ 체험이다. 대한제국 황실의 음식 문화를 소개하는 미식 토크쇼 형식으로 진행하며 식사 및 다과를 즐기며 해설을 들을 수 있다. 오는 5월 1일부터 3일까지 3일간 하루 2회(오후 1시·오후 6시 30분) 운영하며 사전 예약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2024년 궁중문화축전. (사진=국가유산진흥원)
창경궁에서는 ‘고궁만정’(古宮萬情) 공예 전시를 만나 볼 수 있다. ‘고궁만정’은 명정전, 함인정, 영춘헌, 집복헌 등 창경궁의 주요 전각을 활용한 전시다. 국가무형유산 전승자와 현대 공예가의 작품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전시는 26일부터 5월 4일까지 9일간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한다. 별도 예약 없이 자유 관람할 수 있다.
이밖에도 어린이 직업체험 ‘어린이 궁중문화축전’, 독립유공자 초청 행사 ‘봄날의 경회루’와 ‘궁중놀이방’, ‘궁중문화축전 길놀이’ 등의 프로그램을 축전 기간 만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