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보다 비싼 울릉도 물가… "비싸도 너무 비싸"

생활/문화

MHN스포츠,

2025년 8월 14일, 오후 03:00

(MHN 이주환 기자) 울릉도 물가가 도를 넘겼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울릉도는 각종 자재와 생필품, 식자재를 육지에서 배로 들여와야 하는 지리적 특수성이 있지만, 이런 상황을 고려하더라도 울릉지역 생활 물가는 정도를 벗어난 경우가 많다고 관광객들은 입을 모은다.

한국석유공사 오피넷 기준 지난 13일 국내 평균 유가는 휘발유 리터(ℓ)당 1667.70원, 경유 1537.94원인 반면 울릉도 내 주유소 3곳의 휘발유 가격은 1959~1979원, 경유는 1845원 수준으로 육지보다 리터당 300원 이상 비싸다. 울릉군이 유류 해상운송비를 지원하고 있으나 가격 격차는 여전하다.

교통비와 렌터카 요금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여름 성수기 기준 중형 세단 24시간 렌터카 요금은 울릉도가 13만원으로, 포항 7만원, 제주 3만5천~5만원 대비 높은 편이다. 자가용을 여객선에 실을 경우 중형 세단 왕복 운송료만 35만 6천원에 이른다. 포항~울릉 왕복 여객선 운임은 유류 할증비 포함 18만원이다.

식음료와 숙박비도 전반적으로 높다는 평가가 많다. 대표 메뉴 기준 오징어내장탕 1만 5천원, 따개비밥 2만원 등 육지보다 가격대가 높고, 식당 주류는 맥주·소주·막걸리 한 병에 6천~8천원으로 포항 지역 평균 5천원보다 비싸다. 숙박은 시설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육지보다 높은 편이라는 것이 관광객들의 공통된 체감이다.

현장의 불만을 키운 사례도 이어졌다. 최근 한 유튜버는 비계가 절반 이상인 삼겹살을 손님상에 낸 식당을 업로드하기도 했고, 또 다른 유튜버는 예상의 두 배에 달하는 요금을 요구한 택시 사례를 공개해 논란이 됐다.

여기에 더해 최근 육지와 울릉을 잇는 여객선이 고장 등으로 줄면서 전체 관광객은 줄어드는 양상이다.

관광 수요는 감소세다. 울릉도 입도 관광객은 지난 2022년 46만명에서 2023년 41만명, 2024년 38만명으로 줄었고, 올해 7월까지 월평균 관광객 수는 2만9858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6% 감소했다.

섬의 공급망 제약과 소수 사업자 구조가 가격 경직성을 키운다는 지적 속에, 지자체 차원의 실태 점검과 요금 투명화, 업계의 자정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이에 울릉군은 최근 저동항 일대에서 관광 수용 태세 개선 캠페인을 열고 민관 합동 점검을 진행한 바 있다.

남한권 군수는 "관광객들에게 친절하고 신뢰받는 지역이 될 수 있도록 다시 한번 노력하겠다"며 "앞으로 더욱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관광 환경을 제공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사진=울릉군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