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간] 백신 접종 VS 백신 비접종
'백신 접종 VS 백신 비접종'은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가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지명되기 전에 백신 접종자와 비접종자를 비교한 연구들을 모아 예방접종 일정과 개별 백신의 건강 결과를 해설한책이다.
책은 11개 장으로 백신 효과와 부작용 신호를 정리하며, 해석의 한계와 쟁점을 함께 제시한다.
공저자들은 먼저 '왜 제대로 된 비교 연구가 드물었는가'를 살핀다. 결론은 접종군·비접종군의 대규모 장기 비교가 정책·윤리·현실적 제약으로 제한되어 왔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관찰연구 중심 증거가 가진 한계를 짚으면서도 이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데이터 읽기 원칙을 제안한다.
제2장은 정규 예방접종 일정과 특정 진단의 연관성 통계를 모았다. 알레르기·ADHD·학습장애 등 지표에서 차이가 보고된 연구들을 열거하며, 표본·교란요인·유의성 등 해석 요소를 병기한다. 독자는 '일정'이라는 묶음 효과와 개별 백신 효과를 구분해 읽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게 된다.
제3장은 백신에 사용되는 방부제 '티메로살'(thimerosal)을 다루고 제4장은 생백신(MMR, 소아마비, 로타)의 면역획득 방식과 드문 이상반응 보고를 묶는다. 제5장은 인체유두종바이러스(HPV) 백신으로 시선을 옮긴다.
HPV 백신에서 자궁경부암 선별·치료 체계가 갖춘 효율성과 백신의 공중보건적 효익·위험을 비교하면서, 근거의 수준과 데이터의 해석 차이를 소개한다.
제6장은 걸프전 참전 군의 백신 노출과 증상 보고를, 제7장은 인플루엔자 백신의 효과·안전성 신호를 정리한다. 특히 제7장은 특정 백신과 기면증 사이의 연관을 보고한 연구를 발췌해 표본·기간·상대위험을 설명한다.
제8장은 DTP, 제9장은 B형 간염 백신을 다루며 영유아기 접종과 건강 지표 변화를 추적한다. 신생아기 접종과 간 질환 진단의 연관을 분석한 연구 등 논쟁적 데이터가 예시로 제시된다.
제10장은 코로나 백신을 다룬다. 청소년 심근염의 상대위험, 접종 후 특정 기간 위험 창 등 최근 연구 요약과 더불어, 데이터 해석에서 고려해야 할 기준(연령·성별·기저질환·관찰기간)을 제시한다.
마지막 제11장은 임신 중 접종을 둘러싼 이상반응 보고 사례와 한계를 정리한다.
저자들은 '자료 공개와 독립 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독자가 정책·개인 의사결정에서 데이터 리터러시를 갖추길 주문한다. 다만 책에 나온 다양한 연구의 결과는 개별 연구의 설계·표본·교란요인에 따라 저자의 해석과 달라질 수 있다.
△백신 접종 VS 백신 비접종/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브라이언 후커 지음/ 오경석 옮김/ 에디터/ 1만 9800원
art@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