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HN 이주환 인턴기자) 해양레저 및 바다 안전정보를 한데 모은 ‘안전해(海)’ 앱이 실시간 감시부터 갯벌안전, 생활해양예보까지 전면 강화된 2차 업데이트로 돌아왔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지난 15일 ‘안전해(海)’의 두 번째 대규모 개편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현장성이 높은 실시간 정보와 위험 징후 안내의 촘촘함이다.
실시간 CCTV 서비스는 기존 주요 항만 9곳에서 해안가 53곳으로 대폭 확대됐고(유관기관 CCTV 연계), 낚시·해양레저활동 금지구역과 과거 선박충돌·부유물 감김 등 해양사고 발생 위치가 지도로 통합 제공된다. 더불어 낚시·이안류 등 생활해양예보지수를 별도 화면으로 강화해 이용자가 상황별 위험도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갯벌 활동 안전 기능은 눈에 띄게 업그레이드됐다. 바닷물의 수위선을 시각적으로 표시해 현재 바닷물이 도달한 범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했고, 바닷물이 내 위치에 접근하면 경고 메시지와 함께 가장 가까운 육지 방향과 거리를 음성으로 안내한다. 야간이나 해무 등 시야가 제한된 상황에서도 이 기능을 통해 신속한 이탈을 돕는 것이 목표다.
이번 개편은 지난 7월 1차 개편 이후 진행한 사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를 적극 반영했다. 당시 이용자들은 실시간 현장 CCTV, 바다갈라짐·갯벌 물때 알림, 긴급 신고(SOS) 기능을 유용한 요소로 꼽는 한편, 서비스 지역 확대와 갯벌 체험 가능 시간·위험구역 안내 강화를 요구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7월 1차 개편 이후 사용자가 약 4만 6천 명으로 전년 대비 62% 증가했다. 이번 2차 개편을 통해서 국민이 꼭 필요한 ‘해양레저 필수 앱’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계속 보완해 나가겠다.”라며, ”가을철 바다낚시와 갯벌 체험 등 해양레저 활동이 늘어나는 만큼, ‘안전해(海)’를 적극 활용해 스스로 안전을 지키고, 해양사고 예방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특히 가을철 바다낚시와 갯벌 체험 수요가 커지는 시기를 고려해, 위험구역 안내와 생활예보 화면의 가독성을 높이고, 사고이력 표출로 ‘위험이 반복되는 지점’을 한눈에 짚을 수 있도록 한 점이 특징이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앞으로도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UI/UX를 지속 개선하고, 지자체·유관기관 CCTV와 생활해양예보 데이터를 추가 연계해 서비스 커버리지와 정확도를 넓힐 계획이다.
정규삼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장은 “가을철 바다낚시와 갯벌 체험 등 해양레저 활동이 늘어나는 만큼, '안전해(海)'를 적극 활용해 스스로 안전을 지키고, 해양사고 예방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사진=국립해양조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