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성 봉강리 영광정씨 고택’ 전경. (사진=국가유산청)
집터 자리는 한국 풍수지리의 시조로 알려진 도선국사(827~898)의 영구하해(靈龜下海, 신령스런 거북이가 바다로 내려오는 형국) 중 거북의 머리에 해당하는 길지로 전해진다. 이러한 풍수적 입지경관을 담아 ‘거북정’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보성 봉강리 영광정씨 고택’ 담장(거북정 와편 장식). (사진=국가유산청)
고택 서쪽 계곡 건너에는 일제강점기 한학을 공부하는 서당의 기능과 외부 접객, 제실의 역할을 한 삼의당(三宜堂)이 있다. 고택 앞 진입부에는 문중 내 효열을 기리기 위해 1880년 호남 유림들이 조정으로부터 명령받아 세운 광주이씨효열문(廣州李氏孝烈門)이 자리하고 있어 민속적 가치를 더하고 있다.

‘보성 봉강리 영광정씨 고택’ 사랑채. (사진=국가유산청)
국가유산청은 ‘보성 봉강리 영광정씨 고택’에 대해 30일간의 예고기간 동안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보성 봉강리 영광정씨 고택’ 대문간채. (사진=국가유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