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장 사고 3년 반 새 1187건…3곳 중 1곳은 인명사고 위험

생활/문화

뉴스1,

2025년 10월 22일, 오전 10:06

손솔 진보당 의원 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최근 3년 반 동안 공연장에서 발생한 사고로 소방당국이 구조에 나선 건수가 1187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 추락, 붕괴 등 인명사고 위험이 높은 유형이 3분의 1을 차지했지만, 여전히 상당수 공연장이 재해대처계획조차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손솔 진보당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5년 6월까지 공연장 사고 구조 건수는 총 1187건으로 집계됐다. 소방청이 공연장을 별도 사고 장소로 분류해 통계를 관리하기 시작한 2022년 이후, 구조 건수는 2022년 245건, 2023년 356건, 2024년 453건으로 매년 100건가량 증가하는 추세다.

사고 유형별로는 행사지원, 동물처리, 벌집 제거 등을 제외하고 화재, 승강기 사고, 인명 갇힘, 붕괴·깔림, 누출 사고, 추락, 장애물 제거 및 안전조치 등 직접적인 안전사고가 370건(31.2%)에 달했다. 공연장은 다수의 관객이 밀집하는 공간인 만큼 인명 피해 위험이 높으며, 특히 화재나 추락, 구조물 붕괴 등의 사고는 대형 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현행 '공연법' 제12조에 따르면 공연장은 안전진단 결과와 재해대처계획을 관할 지자체에 제출해야 한다. 계획에는 공연장 구조 및 시설 개요, 재해유형별 대처방안, 피난계획, 소방·통보체계, 구조·구급계획, 정기 훈련 및 점검 계획 등이 포함돼야 한다.

그러나 2025년 9월 30일 기준 '공연장안전정보시스템'에 등록된 공연장 1043개소 중 863개(82.7%)만 재해대처계획을 제출, 180개 공연장은 미제출 상태로 확인됐다.

손솔 의원은 "매년 공연장 사고가 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공연장은 여전히 재해대처계획조차 제출하지 않고 있다"며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자체는 공연장 안전관리를 '서류상 행정'에 그치지 않고 현장 중심으로 강화하고, 미제출 시설에 대한 행정조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jsy@news1.kr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