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운4구역에 최고 높이 145m의 고층건물이 들어섰을 때 종묘 정전 상월대에서 바라본 경관 가상도. (사진=국가유산청)
유네스코는 세계유산센터 명의의 외교문서를 주유네스코 대한민국 대표부를 통해 지난 15일 국유청에 전해왔다. 이 문서는 이날 오전 서울시에도 전달됐다.
허 청장은 “외교문서에는 ‘세계유산센터 운영지침에 따라 종묘에 대한 세계유산영향평가 결과를 센터에 제출해야 하며, 자문기구의 검토가 완료될 때까지 개발 사업의 승인을 중지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며 “우리 정부의 의견과 추가 정보를 한 달 내에 회신하라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지난달 30일 세운4구역의 건물 최고 높이를 2018년 국가유산청과 협의했던 71.9m에서 145m로 상향하는 내용의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및 4구역 재정비촉진계획 결정(변경) 및 지형도면’을 고시했다. 이에 국유청은 “종묘의 세계유산 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해왔다. 유네스코는 1995년 종묘를 한국의 첫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세계유산구역 내 경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근 지역의 고층 건물 인허가는 없음을 보장할 것’이라고 명시한 바 있다.
허민 국가유산청장이 17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 종묘 앞 세운재정비촉진계획과 관련한 국가유산청의 향후 대응 계획 발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국가유산청)
서울시는 즉각 반발했다. 서울시는 이날 이민경 대변인 명의로 낸 입장문에서 “종묘와 조화되는 건축 디자인 도입으로 경관 훼손이 없음을 정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했다”면서 “국유청장이 세운4구역 재정비촉진사업과 관련해 종묘 경관 훼손 가능성을 반복 제기하며 세계유산영향평가를 지속적으로 압박하고 있다”며 유감을 표했다.
서울시는 “국유청장은 서울시 계획의 구체적 내용을 정확히 확인하고 협의하는 과정 없이 마치 종묘가 세계문화유산 지위를 잃을 것처럼 호도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국유청이 종묘와 관련해 완충구역을 지정하지 않는 등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다만 국유청은 이날 서울시,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조정회의를 제안하면서 추후 논의 가능성을 열었다. 서울시는 이 같은 제안에 “적극 환영한다”면서도 “재개발 지역 주민 등도 참여해 균형 잡힌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종묘 전경. (사진=국가유산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