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앞서 경찰은 지난 5월 이 공장에서 50대 여성 근로자가 윤활 작업 중 기계에 끼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할 당시 그가 소지하고 있던 윤활유 용기가 시중에 판매 중인 금속 절삭유 용기와 동일한 사실을 파악하고 국과수에 감정을 의뢰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화학물질 정보 등에 따르면 염화메틸렌이 호흡기나 소화기관, 피부를 통해 흡수돼 중추신경계질환, 심장독성, 신장독성 등을 유발한다고 나와 있다.
이소프로필알코올은 소독제의 원료로 주로 쓰며 중추 신경 기능을 저하해 졸음이나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고, 간, 신장, 심장의 기능 저하 및 뇌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두 성분 모두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 제빵을 비롯한 사람이 섭취하는 식품의 제조 과정에 사용돼서는 안 된다.
국과수는 다만 검출된 염화메틸렌의 양이 중독 등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는 판단하기 어렵다는 취지로 경찰에 회신했다. 또한 경찰이 분석을 의뢰한 빵에서는 염화메틸렌 및 이소프로필알코이 검출되지 않았다. 경찰은 더욱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보고 추가 감정을 의뢰했다.
SPC측은 “아직 공식적인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아 사실관계에 대한 확인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다만, “당사 현장에서 사용하는 윤활유는 식품 등급을 받은 글로벌 기업 제품으로 국내 주요 식품기업들이 사용하고 있다”면서 “해당 식품용 윤활유를 공급하는 협력회사에서 제공받은 물질안전보건자료 상에는 해당 물질이 포함돼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고 했다.
SPC관계자는 “사고 설비에는 윤활유가 묻는 부위에 제품이 닿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5월 19일 오전 3시께 시흥시 SPC삼립 시화공장 크림빵 생산라인에서는 ‘스파이럴 냉각 컨베이어’라고 불리는 기계에 노동자 상반신이 끼이는 사고가 발생해 해당 노동자가 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