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앞으로 다가온 상호관세…“수출 품목 다변화해야”

경제

이데일리,

2025년 7월 04일, 오후 08:54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오는 9일부터 미국이 예고한 상호관세가 발효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관세 협상단이 미국을 방문해 상호관세 추가 유예를 요청할 계획이지만 당장 해결은 쉽지 않다는 것이 중론이다. 미국의 고관세 조치로 대미 수출 감소가 불가피해진 만큼 대체 가능한 품목으로 수출을 다변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미 수입시장 내 한국의 점유율은 4%에서 올 1~4월 누적 기준 3.4%로 하락했다. 우리나라의 주요 대미 수출품목인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24.3억 달러↓)을 비롯해 기계류(5.7억 달러↓), 화학공업(4.2억 달러↓), 반도체(3.8억 달러↓) 등의 감소가 두드러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런 결과로 미국 수입시장 내 한국의 점유율도 7위에서 10위로 3계단이나 하락했다.

지난 4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사진=연합뉴스 제공)
문제는 오는 9월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예고한 상호관세가 적용되면 기계산업, 전자·제품 등 직접적인 타격을 받는 업계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대한 상호관세를 지난 4월 2일 책정했다. 이후 같은 달 9일 상호관세를 발효했지만 이를 13시간만에 철회하며 90일간 유예를 결정했다. 미국은 상호관세 유예 만료 시점(7월 8일)을 시한으로 그동안 각국과 관세율, 무역균형, 비관세 장벽 철폐 등을 논의해 왔다.

다만 한국은 탄핵, 조기 대선 등 정치적인 상황으로 무역 협상이 진도를 나가지 못해 결국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게 됐다. 한국의 경우 기본관세 10%에 국가별로 차등 부과된 관세율 15%를 더해 25%의 상호관세율을 적용받게 됐다. 이에 앞서 미국은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25%)와 철강·알루미늄(50%)에 대한 높은 품목 관세를 매긴 바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수입시장 규모가 감소되면서 수출품을 생산하는 국내 기업들도 적잖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각 기업들은 생산 거점을 다양화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해 과세 기준을 낮추는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 또 미국 내 생산이 어렵거나 대체 가능성이 낮은 품목으로 수출을 다변화하는 것도 위기 타개를 위한 주요 대안으로 거론된다.

예컨대 철강업계에서는 특수강·고부가가치 철강 제품 등을 생산하는 것이 대안으로 꼽힌다. 미국 철강산업은 철스크랩을 녹여 생산하는 전기로(EAF) 기반으로 하지만, 한국은 철광석을 기반으로 한 고로 생산체제를 갖추고 있다. 이런 이유로 미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고급 판재류나 특수강 생산에 비교우위를 확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과거 2002년 부시 행정부의 철강 세이프가드 당시에도 일부 고급 강판 및 특수강은 미국 내에서 대체 생산이 어려워 수입이 지속됐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자체적으로 생산이 어렵거나 기술력이 요하는 품목에 대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며 “철강업계에서는 미국이 자체적으로 생산하기 힘든 고급·특수강, 선박분야도 우리나라의 제조기술이 독보적이기 때문에 미국 측의 수요가 있는 MRO(유지·보수·정비) 등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